당신의 보험을 바로잡아드립니다 - 보험료는 줄이고 보장액은 키우는 똑똑한 보험설계
최성진 지음 / 라온북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직 보험 설계사 분이 쓰신 책

보험 가입할때 유의해야될 점들이나 조언들이 적혀 있다.


보험에 대해 잘 모르면 가입할때 설계사에게 일임하는 경우가 많다. 

즉, 고객의 보험에 재량권을 설계사가 갖는다는 말이다. 기본적으로는 고객을 위해 보험을 설계하겠지만, 칼자루를 설계사에게 넘겨주어서는 곤란하다.

가장 중요한 설계를 설계사가 생각하는 의도대로 좌지우지하게 만들지 말자!


보험 가입할때는 보상하지 않는 손해를 설계사에게 물어보는 것 정도는 기억해두자.

고객이 최소한의 질문을 하게 된다면 설계사도 더 무거운 책임감을 느낄 것이다. 그런데 고객의 질문에 제대로 답해주지 않거나 회피하려고 한다면 다른 설계사를 찾는 것이 좋다.

이렇게 자신이 이해하는 보험상품에 가입했다면, 그 다음으로 확인해야할 내용은 약관과 청약서의 내용이다.


먼저, 청약서에 고객이 설계사에게 제공하는 고객의 직업, 운전 여부, 병력에 관련된 알릴 의무 내용이 제대로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고객이 솔직하게 고지한 내용들이 청약서에 체크되어 있지 않다면 보상에 나쁜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둘째로, 보험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권리와 더불어 고객이 받을 수 있는 불이익과 중요 사항을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이 부분은 넘어가기 쉬워서 고객 자신이 읽어둘 필요가 있다.

셋째로, 약관의 중요 내용을 살핀다. 그 중에서도 가장 뒷부분에 있는 별표를 따로 보관해두면 도움이 된다. 신체기관별로 번호랑 코드가 다르기 때문에 이런 부분을 미리 알고 있으면 병원에서 진단서를 받을때 본인의 코드를 정확하게 확인해볼 수 있다. 실제로 아픈 부위와 코드가 일치하지 않아서 고객이 불이익을 받은 사례도 있다.


요즘에는 보험회사들이 상품으로 경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처음부터 명확하게 두세 군데 비슷한 보험들을 비교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 좋다. 그렇게 되면 설계사도 고객을 만만하게 보는 일이 없어 고객에게 유리할 수 있다. 


요즘 보험 설계에 관한 책들이 시중에 많이 나오는 것 같다. 머리가 복잡할 정도로 자세히 쓰여진 책도 있고 간단하게 사례 위주로 나열된 책들도 있다. 

 잘 선별해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또한, 보험 역시 계속 바뀌기 때문에 어느정도 지식을 갖추고 있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