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위의 아이들 라임 청소년 문학 64
남예은 지음 / 라임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아이들이 너무 일찍 철이 드는 건지, 아니면 너무 늦게 철이 드는 건지 헷갈릴 때가 있다

아이들과의 접점이 없는 나로서는 제삼자나 미디어 혹은, 책을 통해서 알 수밖에 없는데 항상 드는 생각이 그런 것이다. 호기롭다가도 나약하며 곧 쓰러질 것 같은 상황에서 다시 일어서는 아이들의 행동은 함부로 예단할 수가 없다. 흔히 말하는 질풍노도의 시기답게 책의 제목처럼 선 위의 아이들은 아슬아슬하다.

일본에서 광고학을 전공했고 일본어 동시 통역사로 일한 전력과 무관하게 청소년 소설로 유수의 문학상을 받은 저자의 짧은 이야기들은 주제는 묵직하나 문체는 가볍고 아직, 우리에게는 내일이 있다는 진부하지만 확실한 메시지를 준다. 어른이 아니므로 여전히 많은 날들이 남아 있다고 느껴져 그들의 낙관적인 태도가 이질적이지 않고 함께 응원하는 마음까지 드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소설 속 아이들이 처한 현실은 생각보다 버겁다.

저마다 겉으로는 시큰둥하지만, 마음은 요동치고 있다. 답을 줘야 하는 어른들은 문제만 던져주는 식이다. 여자 친구와의 오해도 속상한데 부모님의 이혼은 감당할 수 없는 불안을 안겨주고<나쁜 사랑>, 엄마와 같은 인생을 살기 싫다고 발버둥 쳤지만 어쩔 수 없이 한 덩어리임을 아프게 자각하며<코르셋>, 누구의 잘못인지도 모르겠는 혼란함을 피해 제방에 숨어들어 보이지 않는 선을 그어놔도 사심 없이 넘나드는 자신보다 여린 존재를 외면할 수는 없다<선 위의 아이들>. 유년 시절의 치기(稚氣)는 부메랑이 되어 가슴에 상처를 내고 너무 멀리 와버린 결말에 황망해하기도 한다<지하철 1호선>.

저자는 등장인물들을 아이들로 상정했을 뿐 어른이 되어서도 겪을 수 있는 일상을 소재로 삼은 듯하다. ‘는 개별적인 존재일지 모르지만 은 일괄적이라는, 따로 떨어져서는 살 수 없다는 사실을 말하고 싶은 게 아닐까. 혼자서도 충분하다고 큰 소리 치지만 사실은 혼자가 되는 것이 가장 불안한 아이들에게 그래도 누군가 한 명은 곁에 있어서 좋았다.

친구, 부모님, 이웃소년, 혹은 가면을 벗어 던진 자신의 본모습일지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