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사르의 여자들 1 - 4부 마스터스 오브 로마 4
콜린 매컬로 지음, 강선재 외 옮김 / 교유서가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마스터스 오브 로마 시리즈의 4번째로 전 3권으로 구성된 카이사르의 여자들의 첫번째 권입니다. 콜린 매컬로의 역작으로 불리는 이 작품을 저는 아직 읽지 않았었습니다. 요즘에는 출간을 기다리기보다는 모두나오면 한꺼번에 사서 읽고 싶었거든요. 예전에 로마인이야기는 참 오랜기간 기다려서 한권한권 구입했었는데 말이죠...ㅎㅎ

어쨌든 이번에 YES24의 YES블로그 이벤트로 독자원정단이 되어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습니다. 제목처럼 그 시작은 카이사르의 여자들 중에서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를 제외하고 로마인으로는 가장 유명한 세르빌리아가 등장합니다. 그녀의 아들은 바로 그 브루투스구요. 세르빌리아는 비록 여자이지만 로마귀족인 파트리키 특유의 거만함이나 혈통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려집니다. 그녀는 혈통이 이상이 없는 아들 브루투스를 그토록 아끼며 집안의 큰 재산을 가진 카이피오나 이복남동생 카토를 혈통상의 이유로 싫어하고 카이피오를 암살까지 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소설에서는 실제와 달리 카이사르의 큰딸 율리아와 브루투스가 약혼을 하다가 세르빌리아와 카이사르가 눈이 맞는 것으로 나옵니다. 이같은 설정은 사실 연회 같은 곳에서 대화를 하다가 세르빌리아를 만나지 않았을까하는 저의 생각과는 전혀 다르게 전개되는 것이었지만 소설에서 훗날의 복선으로써는 충분히 괜찮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일종의 브루투스를 위한 변명(?) 내지는 그가 왜 카이사르를 죽였는가에 대한 원인중 몇가지를 그려낼 수 있기 때문이죠. 첫번째는 율리아와의 약혼인데 실제로 율리아는 폼페이우스와 결혼하게 되니까 당연히 브루투스와는 파혼하게 될거같고, 두번째는 역시나 소설적인 설정으로 세르빌리아의 3번째딸이 카이사르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이라는 설정으로 브루투스에게 카이사르가 그의 어머니와 함께한건 물론 아이까지 있다는 분노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그가 우러러보는 외삼촌 카토의 적수라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겠지요.

소설의 시대적 배경은 해적으로 고통받던 로마에서 로마의 전통을 지키려는 보니파를 이겨내고 폼페이우스가 독재관급의 작전권을 부여받고 해적소탕을 하고 루쿨루스의 미트라다테스 전쟁 원정을 마무리 짓는 부분입니다. 이때문에 루쿨루스의 원정군이 그려지는데 뜻밖에도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라는 인물이 천방지축으로 그 간사한 혀로 군중을 농락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왠지 익숙하지만 누군가 싶던 이 이름은 결국 생각났는데 바로 파트리키가 대접받던 로마에서 완전 뜻밖의 선택을 한 인물인 푸블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풀크루스 입니다. 그는 훗날 이름까지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로 바꾸며(소설에서는 스스로 바꾸네요?) 평민의 양자가 되어 카이사르를 위해 호민관이 되는 인물입니다. 즉 호민관이 되기 위하여 귀족의 지위를 내던진거죠. 이 소설에서는 매형들을 괴롭히다가(?) 아라비아족한테 할례를 당하고 돌아와 수치스러워하다가 자신을 마음에 들어한 돈과 인맥이 많은 집안의 풀비아와 결혼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아직 폼페이아와 연관된 신전침입 등 그의 여정이 다음권에 남아있는 것이죠. 

카이사르는 소설 속에서 고등조영관과 최고신관이 됩니다. 고등조영관으로써 그와 함께 뽑힌 파트라키 출신은 비불루스로 바로 훗날 카이사르와 함께 집정관이 되기도 하는 사람인데 그해는 율리우스와 카이사르가 집정관이었다는 말로 조롱받았죠. 소설 속 고등조영관으로써도 카이사르의 상대가 되지 못하고 카이사르는 큰 경기대회를 열고 가이우스 마리우스를 복권하고 부친을 기리는 장례 경기를 엽니다. 하지만 엄청난 빚을 지게 되고 빚쟁이들을 막기위해서 그리고 자신의 늘어난 피호민들을 좁은 집에 들이지 않기 위해 최고신관 직위를 다시 평민회 선거로 바꾸고 선거에 나가 보니파 후보들을 꺽고 종신직인 최고신관이 되어 최고신관의 관저를 얻게 됩니다.


중간중간에 다른 인물들의 이야기가 나오기는 하지만 카이사르와 세르빌리아를 중심으로 소설을 이끌어가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다만 카이사르의 최대 채무자가 크라수스라고 알려져있는데 소설 속에서는 크라수스가 채권자들을 소개만 할뿐 카이사르는 친구에게 돈을 빌려지 않는다는 내용이 나와서 좀 의아했고 클로디우스의 할례이야기에 이어서 폼페이우스의 편지에서도 할례에 대해서 나오는데 작가가 할례를 특이하다고 생각한건지, 아니면 폼페이우스가 편지를 통해 클로디우스를 이야기하면서 그의 상황을 암시한건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직접적인 암시가 아니라서 왜 또 할례를 이야기한거지?하고 의아한 생각도 좀 들었거든요. 아라비아의 두목이 폼페이우스에게 전말을 말했을 가능성도 충분하니까 암시라고 생각해도 될거같긴합니다.

새로이 알게 된건 그게 작가의 상상인지 정말인지 모르겠지만 많은 로마의 시민이나 로마에 속한 곳의 사람들이 신전에 유언장을 맡긴다는 것입니다. 카이사르도 신녀에게 이야기를 듣고 감탄하지요. 시리즈의 다음이야기, 이전의 가이우스마리우스나 술라의 이야기도 궁금해지게 만듭니다.



<이 서평은  교유서가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쓰여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