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K를 보다 - 한류는 어떻게 국경을 넘어 문명이 되었는가
정호재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으며 솔직한 생각을 적었습니다.

 

Who is next?

 

-한류를 지역학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궁금한

-아시아에 미치는 한류의 영향이 궁금한

 

바야흐로 한국 콘텐츠 더 넓게는 한류의 힘을 확실히 느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광적인 인기를 자아낸 오징어게임이 대표적인 예이고,

윤여정 배우의 오스카 여우조연상 수상,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의 아카데미상 수상,

두말하면 입아픈 BTS만 봐도 누구나 알 수 있을 정도다.

 

이 책은 그러한 한류의 힘을 지역학관점에서 다룬다.

싱가포르에서 아시아 지역학을 전공한 작가님은 한류를

중국, 일본을 넘어서 동남아시아와 더 넓게는 아시아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이야기한다.

 

어떻게 파급력을 가질 수 있었고, 그것이 아시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단순히 한류예찬에 대한 책은 아니였고 한류 현상을 지역학과 함께 분석한 책이라고 보면 될 것같다.

 

개인적으로는 어렵게 느껴지는 책이었지만 국제적인 흐름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나

특별히 아시아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이라면 더욱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한류라는 문화가 선두에서 지휘하기까지

많은 조건들이 뒤따라 붙기에 가능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평단으로 선정해주신 출판사에게 감사드립니다.

 


한류 댄스야말로 이 시기 아시아 문명의 최첨단에 있다.
그것이 너무도 당연한 까닭은 케이팝이 보여주는 여성성이 무척 ‘진보적‘이기 때문이다. - P21

결국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것은 한국의 시스템이 꽤 ‘문명적‘이라는 말도 된다.
차별이 덜하고, 보상이 공정하고, 개인의 권리가 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이 제3세계 노동자를 차별하지 않는 나라라고 자신 있게 말하기는 어렵다.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