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열림원 세계문학 4
헤르만 헤세 지음, 김길웅 옮김 / 열림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는 동서양의 접점에서 탄생한 작품으로, 그의 자전적 성향이 독자에게 풍부한 내적 경험을 전하고 있다. <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에서의 고단한 삶에서의 전환 후 쓰여진 이 작품은 헤세의 글쓰기 방식에서 새로운 전환을 보여주어 흥미를 끈다. 서양 작가가 동양의 불교를 다룬다는 점에서 헤세의 독특한 시도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진다. 그가 '싯다르타'를 통해 어떠한 시점에서 이 작품을 쓰고자 했는지 의문스러운 점도 흥미로운 측면 중 하나이다.

이 작품에서 헤세는 고타마 싯다르타를 석가세존과 바라문의 아들로 각각 설정함으로써 불교에 대한 독창적인 시선을 제시한다. 그는 불교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을 넘어서 고타마와 싯다르타의 역할을 새롭게 정립하며, 불교의 진리에 대해 심도 있게 탐구한다. 이는 헤세가 불교를 몰랐거나 잘못 이해한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철학적 전환과 새로운 길 모색을 시사한다.

싯다르타와 고타마의 만남은 작품 초반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만남은 헤세의 예측을 벗어나 싯다르타가 쉽게 깨닫지 않는 모습으로 전개된다. 이는 깨달음의 과정이 어렵고 복잡하며 단순한 결정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헤세의 철학을 반영한다. 고타마의 가르침을 듣고 나서도 싯다르타는 진리를 깨닫기 위한 개인적인 고난의 여정을 거듭한다.

작품의 중요한 순간 중 하나는 세속적인 삶을 체험하는 싯다르타의 여정이다. 육체적인 욕망과 사랑, 장사와 돈의 쾌락을 탐험하면서 그는 깊은 깨달음을 찾아가는데, 이는 불교의 원리와 일치한다. 헤세는 세속적인 경험을 통해 깨달음을 향한 과정을 묘사함으로써 독자에게 불교적 가르침을 전달한다.

작품의 끝에서는 싯다르타와 고빈다의 만남을 통해 헤세의 생각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이는 작가가 이전 작품에서 다뤘던 주제와의 연계를 보여주며, 고빈다와의 대화를 통해 헤세가 불교의 사상에 대한 자신만의 길을 찾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강물의 소리와 함께 받은 깨달음은 헤세가 지금까지의 길에서 새로운 전환을 예고한다. 이는 <데미안>에서 다뤘던 선과 악의 양면성을 극복한 헤세의 성장을 상징하며, 그의 글쓰기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싯다르타>는 서양 작가의 독특한 시도와 동양의 불교를 소재로 한 독창적인 해석으로 많은 독자들의 눈길을 끈다. 헤세가 동양의 철학과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작품을 통해 잘 드러나며, 독자들에게는 다양한 생각과 깨달음을 안겨준다. 유명한 작품인 만큼 다양한 출판사에서 낸 책이지만 열림원출판사에서의 싯다르타는 또 다른 면모를 볼 수 있다는 것도 큰 매력이다.


- 컬처블룸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