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혹하는 이유 - 사회심리학이 조목조목 가르쳐주는 개소리 탐지의 정석
존 페트로첼리 지음, 안기순 옮김 / 오월구일 / 2021년 12월
평점 :
<우리가 혹하는 이유>란 책 속엔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얼마나 자주 혹하고 속고 있는지, 사람들은 언제 왜 거짓말을 하는지, 그런 거짓 정보 사이에서 어떻게 대처하고 구분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보기도 하면서 우리가 혹하는 이유와 대처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자주 혹하고 기어이 속는다고 한다. 저자는 분명하고 강한 어조로 '그럴듯한데?'라는 생각이 들 때마다 이 책을 펼치라 조언한다.
책을 읽으면서 '그것이 알고 싶다'같은 고발 프로그램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어둡지는 않지만 너무 현실적이라서 바보 같은 나를 마주하고 쓴소리를 듣는다. 반박하고 싶지만 맞는 이야기다. 특히 MBTI(성격유형검사)를 신봉하는 나로서는 '채점과 요약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사람들이 스스로 제고한 정보를 좀 더 설득력 있는 언어로 전환한 것일 뿐'이라는 말이 무척 당황스러웠다. 이 책을 통해 확신의 근거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고 확신을 하면 위험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익숙한 것들을 낯설게 볼 줄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꼈고, 믿을만한 정보라고 생각이 드는 것도 의심을 해봐야 하고 다른 사람의 정보보다는 나 자신이 정보를 찾아 확신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편으로는 반복돼서 노출되면 거짓도 진실이 되는 것, 기분이 기억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 '남들도 다 하는 거니까'라는 함정 같은 규칙 속에서 이 부분을 역으로 마케팅할 때 써먹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이 팔랑귀라는 이야기를 들었던 적이 있는 사람이 읽으면 세상 살아가는데 사기당하지 않고 굳건한 기둥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만한 책이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