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헤의 시간 - 독일 국민 셰프 호르스트 리히터 씨의 괴랄한 마음 처방
호르스트 리히터 지음, 김현정 옮김 / CRETA(크레타)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일 유명 방송인 '호르스트 리히터'는

2주간 묵언 수도원에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삶의 한 단락의 끝과 시작에 읽기 좋은 책!

절적한 시기에 적절한 온도를 가진 꽤나 철학적인 책을 만났다.

철학적이라고 해서 어렵고 교과서적인 느낌이 아니다.

저자 '호르스트 리히터'는 독일의 유명한 방송인이며, 스타 셰프이자 작가로 자신의 내면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고 싶어 들어간 들을 이 책에 담았다.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며, 내 인생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야 할까? 내가 더 이상 원하지 않는 것은 무엇이며, 앞으로의 내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9P

제목 속에 있는을 뜻한다. 저자가 묵언 수도원을 선택한 이유는 '빨리빨리'사회, 물질적이고 무의미한 온갖 소음으로 가득 찬 일상생활에서의 '단절'을 원했기 때문이다.

그저 유희를 느끼기 위한 책이 아니라서 처음에는 손에 잘 잡히지 않았는데 막상 읽기 시작하니 독백하는 듯한 문체에 편안함을 느끼고 나의 가치관과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저자의 생각들을 따라가다 보니 어느새 마지막 페이지였다.

묵언 수도원이라는 곳을 어쩌다가 무슨 생각으로 가게 되었는지, 묵언 수행원이라는 곳은 무엇을 하는 곳인지, 그곳이 2주동안 가볼 만한 가치가 있는 곳인지 또 저자가 어떤 것을 얻었는지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읽었고 . 같은 문장을 여러 번 읽은 부분도 많았고, 오랫동안 생각하고 싶어 공책에 적어놓기도 했다. <루헤의 시간>은 그냥 지나치고 싶지 않은, 천천히 읽고 싶은 책이었다.

처음 묵언 수도원으로 들어갔을 때 저자는 자신의 아침 루틴과 맞지 않은 환경에서 짜증이 났고 복도에 나와 고함을 지르기도 했다. 아침밥을 먹지 못하는 것을 참을 수 없어 했는데 인간적인 모습에 유쾌했고 커피를 못 먹는 부분에 크게 공감도 했다.

수도원에서 저자는 혼자 산책을 많이 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곤 했는데 이때 저자가 생각한 것들이 나에게도 가치 있는 생각들이었다. 변화에 대한 두려움, 나눔의 가치, 충만한 삶, 죽음, 번아웃, 성악설, 행복, 만족에 대한 내용들이었는데 새로운 시도에 앞서 두려움을 극복하는 부분이 특히 좋았다.

'나는 다시 일어나 계속 걸어야 했고 내가 전혀 알지 못하는 새로운 길을 걸어야 했다. 물론 두렵다. 하지만 두려움은 도움이 되지 않으며 한 걸음 한 걸음 걷다 보면 조금씩 쉬워진다.' -150P

'호르스트, 너는 부지런하고 성실해. 너는 해낼 거야' 단순하지만 '너는 해낼 거야'라는 말을 자신의 신조로 여기며 자주 되새긴다고 한다. 사실, 어찌 보면 알고 있는 사실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저자가 묵언 수도원에 들어가 루헤의 시간을 가지면서 생각한 것들인 만큼 어떤 것이 진정한 가치가 있고 삶을 건강하게 하는지 상기시키면서 나 또한 방향성을 잡고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이 좋았다.

<루헤의 시간>은 나에게 아주 적절하게 왔다 갔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