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공한 사람들의 기상 후 1시간 - 성공한 사람들은 아침 시간을 운에 맡기지 않는다
벤자민 스폴.마이클 잰더 지음, 김미정 옮김 / 센시오 / 2021년 12월
평점 :
이전에 읽었던 "나의 하루는 4시 30분에 시작된다"라는 책이 생각난다. 그 책을 읽었을 때 야행성인 내가 아침에 좀 일찍 일어나 볼까 하고 진심으로 생각했었던 기억이 있다. 실제로 이행하진 않았지만 아침 시간이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지 몸소 느끼곤 했었다. 그런 나에게 다시 한번 의욕을 불태운 책이 있었으니 바로 이 책이다.
<성공한 사람들의 기상 후 1시간>에서는 세계적 명사 64명의 64가지 모닝 루틴을 인터뷰식으로 소개하는 구조로 10장에 담았다.
올림픽 금메달 3회 수상자인 레베카 소니, 필사와 윌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사장인 에드 캣멀, 삶을 바꾸는 정리의 달인이자 일본인인 정리 컨설턴트 마리에 곤도 등이 등장한다. 대체로 5시~6시 사이 일찍 일어나는 편이었고 자신들이 만든 루틴에 내적 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아침 운동, 커피, 독서, 아침식사 등 평범하면서도 다채로운 일과를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고 그 시간에 자고 있을 나의 모습이 오버랩되면서 자극이 되었다. '나도 나를 위해 생산성 있는 일을 해보고 싶다'라고 생각했다.
어떤 모닝 루틴을 가지고 있나요?, 몇 시에 잠자리에 드나요? 아침에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인가요?, 실패할 때는 어떻게 하나요? 등의 질문과 답변 형식이라 읽는데 피로함이 없었다. 목차를 보고 자신이 알고 있고 궁금한 사람의 페이지를 순서 없이 먼저 읽어도 무방하다.
특히 아침형 인간이 되어야 한다는 압박감에 도전조차 부담으로 느껴졌던 애로점이 있었는데, '아침형 인간일 필요 없다'면서 일찍 일어나든 늦게 일어나든 일어나면서부터가 아침이라고 전하는 부분이 '그 시간이 언제가 되었든 일어난 직후 1시간에 집중한 내용'이라 부담감을 내려놓고 가벼운 마음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는 전환점이었다.
모닝 루틴은 자신을 위한 것이지, 모르는 사람이 정한 생산성의 기준을 채우려는 것이 아님을 다시금 되새겨보는 시간이었으며 성공한 사람이 되고 싶은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책이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