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공부합니다 - 음식에 진심인 이들을 위한‘9+3’첩 인문학 밥상
주영하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식을 인문학 그리고 역사학의 시선으로 해석하고 연구하는 음식인문학자인 저자 집필한 이 책에서는 저자가 30년간 음식을 공부하면서 터득한 음식 공부 노하우를 12가지로 정리한 내용을 담고 있다. 2021년 <EBS 클래스 e>에서 출발한 만큼 전반적인 분위기 또한 음식 다큐 느낌이 강하게 풍겨, 음식에 대해 제대로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읽는데 적절하겠다.

12장으로 구성된 책 속에서는 라멘, 라면을 예시로 이름의 내력을 따지는 방법, 음식의 범주, 식재료 확보 가능한 시기 파악, 산업화에 따른 음식문화 변화 등의 노하우를 알려준다. 나는 특히 식재료 품종 개량 부분이 인상적이었는데, 식민지기의 배추 품종이나 중국에서 씨앗을 가져와서 재배한 결구배추 등이 담긴 사진이 신기했고 배추를 보다 보니 배추김치 역사까지 접할 수 있어서 옛 조상들로부터 지금까지 내려온 음식 지혜를 조금이나마 몸소 느낄 수 있어 흥미로웠다. 배추김치 사진뿐만 아니라 이 책에서는 전반적으로 요리와 관련된 옛 문서 사진이 많아 음식에 대해 조금은 깊게 다가간 느낌이 들어 유익하다고 생각했다.

무엇보다도 책에서 다룬 떡국, 전주비빔밥, 평양 불고기, 평양냉면, 잡채, 짜장면 등 음식 사진이 나올 때면 시각적으로 유희를 즐길 수 있음이 즐거웠다. 음식의 역사를 따질 땐 이름의 내력을 살펴보는 방법과 명확한 식품학적 음식의 정의 등을 배운 책으로 음식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