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고양이의 물 마시는 법 - 유체역학으로 바라본 경이롭고 매혹적인 동식물의 세계
송현수 지음 / Mid(엠아이디)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 읽은 책은 원체 동식물들을 좋아하고 호기심도 많은 편이라 제목만 보고 고른 책이다.

<개와 고양이의 물 마시는 방법> 표지에 '유체역학으로 바라본 경이롭고 매혹적인 동식물의 세계'라는 글이 이 책을 설명해 준다.

이게 무슨 말이지? 싶어 빠르게 읽었다.

이 책은 자연의 신비, 생명체의 경의로움 등 인류 탄생 이전부터 지구에 살고 있었던 동물과 식물이 거친 야생에서 살아남기 위해 선택하고 진화한 형태와 구조, 생활 약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으로서 저자가 '유체역학'을 주제로 한 시리즈의 세 번째 책이기도 하다.

앞에서 '유체역학'이라는 단어를 보고 '뜨악'하고 손절해버릴 독자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 책은 생각보다 어렵지도 않고, 과학적이만 약간의 관심만 있다면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책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루고 있는 내용들을 몇 가지 살펴보면

개가 물을 먹을 때 혀끝을 코 쪽으로 말고 턱 쪽으로 오므리며 국자 모양을 만들어 먹는다는 것, 고양이는 혀를 세워 그 끝만 물에 살 짝 댔다가 바로 올려 순간적으로 작은 물기둥을 형성하고 이 물이 낙하하기 전에 입을 닫아 먹는 방식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그 외에도 얼룩말 줄무늬의 비밀(흡혈 파리를 혼란스럽게 하기 위해?), 굴러다니며 살기에 적합한 환경을 찾아 나서는 회전초,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건축물을 짖는 공중 건축가 거미, 물줄기를 뿜어 먹이를 잡는 물총고기 등이 있다.

평소 다큐를 보며 자연의 신비에 감탄을 금치 못하고 빨려 들어가는 나로서는 무지하게 흥미로운 주제가 아닌가 싶다. 하나의 다큐를 책으로 보는 것 같은 느낌이다. 책을 읽으면서 며칠 전 읽었던 김초엽 작가의 '지구 끝의 온실'이 생각났다. 그 소설에는 '모스바나'라는 식물이 등장하는데 자가증식 먼지가 가득한 세상에서 증식하는 모습을 상상하며 흥미롭게 읽곤 했는데, 필자와 같은 포인트에서 흥미를 느낀 독자라면 <개와 고양이의 물 마시는 방법> 또한 재미있게 읽을 거라 생각한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