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엄호텔 ㅣ 프랑스 여성작가 소설 2
마리 르도네 지음, 이재룡 옮김 / 열림원 / 2021년 9월
평점 :
할머니가 돌아가시면서 남긴 장엄호텔을 관리하는 '나'의 이야기다. 장엄호텔은 늪 위에 지어진 탓에 습기가 많아 여기저기 썩어가고 곰팡이와 쥐가 다니지만 주변의 유일한 호텔로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장엄호텔에는 어렸을 때 엄마와 함께 떠났던 언니 둘이 살고 있다. 나는 할머니에게 장엄호텔을 받은 대가로 호텔에서 언니들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다. 아무것도 안 하는 언니들과 낡을 호텔을 관리하는 나. 어느 날 호텔에 전염병이 퍼져 언니가 시체로 발견된다. 무겁게 잠긴 언니 방안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유독 저자의 짧은 문체가 눈에 띄었던 글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나'의 시선에서 이어간다. 쓰러져가는 건물과 습기와 곰팡이, 쥐와 전염병, 장엄호텔을 이끌어가야 하는 책임감과 불만 많은 두 언니까지 '나'의 어깨는 무겁지만 상황을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이고 담담하다.
필자는 '나'와 동행하면서 호텔을 되살린 이유가 뭘까 생각했다. 할머니에 대한 존경심으로 이어가기엔 너무 무거운 짐이었다. 언니들은 왜 그리 염치가 없는 걸까. 어려운 상황에서 삶을 포기하지 않는 것은 맞지만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장엄호텔과 같이 늙어가는 '나'도 이렇게 견디다간 미래의 모습도 더 좋아질 리 없다.
필자는 '낡은 것은 고치고 막힌 것은 뚫고 고칠 수 없는 것은 감당하면서 끝까지 책임져야 하는 나의 삶과 비슷하다'라는 저자의 말에 밑줄을 긋고 한참이나 곱씹었다.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사연을 가지고 산다. 그것도 열심히. 자신에게 주어진 운명의 늪 위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간다. 마치 장엄호텔을 유지하는 '나'의 모습처럼.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