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위기 동식물, 무엇이 문제일까? - 인간 때문에 지구에서 자취를 감춘 동식물들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8
이억주 지음 / 동아엠앤비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종들은 왜, 어떻게 멸종 위기에 처하는 것일까에 대한 답이 궁금하다면 바로 이 이 책을 보시라.

대답부터 말하면 인간 때문이다. WWF(World Wide Fund for Nature : 세계의 야생동물 및 원시적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 환경단체)는 인간이 숲을 태우고 물고기를 남획하고 서식지를 파괴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인간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하는 동물들인데, 왜 동물이 멸종하는지 이유를 궁금해한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멸종 위기 동식물 무엇이 문제일까?>은 총 5부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 때문에 지구에서 자취를 감춘 동식물에 대한 정보를 담은 책으로, 1부에서는 멸종과 멸종 위기종의 개념을 정리하고 2부와 3부에서는 세계의 멸종 위기 야생생물 현황을 알려주고 4부에서는 생물은 왜 멸종하는지에 대한 설명 마지막 5부에서는 멸종을 막으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지금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멸종 위기 야생생물 법적 지정 역사 부분은 전부터 궁금해 왔던 자료인데 뜻밖에 이 책에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표로 정리된 자료를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2021년 기준 267종의 생물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급은 60종 2급은 207종 / 식물과 조류가 가장 많다. 위기 급별로 나눠진 책을 따라 보면서 의외로 익숙한 동물들이 꽤 많이 있어서 놀랐다. 멸종 위기종이라고 해서 낯선 이름을 가진, 처음 들어본 모르는 종 일 줄 알았는데 늑대, 반달가슴곰, 수달, 여우, 표범, 호랑이가 명단에 있어서 사항에 대한 경각심이 들었다.

책 전반적으로 이해를 돕는 동식물의 정갈한 사진과, 그래프 표, 다정함이 느껴지는 내지 디자인으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운 주제인데도 불구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해준다. 특히 생각 정리하기 부분이나 질문과 답변을 쓸 수 있는 여백 부분이 일방적인 정보 공급에서 더 나아가 생각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멸종도 자연현상의 일부이고, 멸종이 있으면 일각에선 새로운 종이 탄생하기도 하기 때문에 하나의 자연현상으로 치부한다 하더라도 인간 때문에 지구에서 자취를 감춘 동식물들이라는 말이 입안 구내염처럼 따끔했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