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 ㅣ 넥서스 경장편 작가상
권여름 지음 / &(앤드) / 2021년 8월
평점 :
다이어트 고민을 안 해 본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적어도 내 주변 사람들은 항상 매년 다이어트 진행 중이다.
다이어트는 삶의 동반자다. 그래서 단식원을 배경으로 한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 소설이 눈에 띄었다. 덤으로 마지막 다이어트라고 하면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포함됐다.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 줄거리는 단식원에 근무하는 다이어트 코치 봉희의 시선으로 흘른다. 마침 단식원에서 운남을 대상으로 Y의 마지막 다이어트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세상에 내보이는 와중이라 운남의 부재는 컸다. 봉희는 운남을 찾으러 운남의 집을 찾아가는데 알고 보니 운남은 운남이 아니라 강미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었다. 하지만 강미네 집에서도 강미의 모습은 찾을 수 없었고 결국 Y의 마지막 다이어트 프로젝트는 새로운 사람으로 대체되며 일단락되지만 봉희는 운남이 자꾸 신경 쓰여 한다. 봉희는 약 정체를 찾아가며 단식원의 이면을 보게 된다.
이 책에서는 단식원이라는 흔치않은 사례를 들어 이야기하고 있지만, 살찐 몸을 낫은 신분에 비유하면서 암묵적으로 사회가 강조하고,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규격화된 신체를 이야기하며 부조리한 면모를 꼬집는다. 책을 읽으면서 필자는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라고 다짐하며 단식원에서 수련하는 수련생의 마음이 되어보기도 했고, 한 발자국 물러나 나는 그래도 단식원에서 생활할 정도는 아니야라며 선을 긋고 바라보기도 했다.
유리단식원에서 제공한 효소에는 어떤 성분이 있었던 것일까? 식욕억제제도 천연성분이라 말하는 원장의 모습에 봉희는 까무러치고 대중에게 고발한다. 하지만 다이어트하면서 식욕억제제를 먹는 게 정말 '건강하지 않는'방법일까? 이런 부분 또한 하나의 편견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우리는 아프면 당연하듯 약을 먹는다. 단식원처럼 무조건 굶고 빼는 방법도 통용되는데 다이어트 약 먹는게 뭐가 문제가 될까 싶었다.
마냥 유쾌하고 위트가 있을 것 같았는데 전반적인 분위기는 이다. (물 20~30번 씹고 먹으라는 거?) 어려운 문체로 은유적이고 추상적인 서술을 하지 않고 편안하게 읽을 수 있어 가독성이 좋았다. 결국 아무런 소음이 없는 곳으로 찾아간 봉희처럼 뚱뚱한 몸으로 인한 소음이 없는 문화가 고조되길.
덧. 미국 해변을 가면 상대적으로 날씬한 자신을 느낄 수 있음!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