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 진짜 나를 알아가기 시작했다 - 지독했던 서른앓이를 치유해준 문장들
김현중 지음 / 더퀘스트 / 2021년 7월
평점 :
쿠팡 MD로 재직 중인 저자는 자신이 서른 앓이를 하면서 겪은 삶의 고뇌를 독서를 통해서 진짜 '나를 알아갔다'고한다. 그런 이 '서른 진짜 나를 알아가기 시작했다'이다.
올해부터 타인에게 나를 소개할 때 '서른'이라는 단어를 썼다. 사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라는 말에 어느 정도 공감하고 있는 나였고, 29살에 12월이나 30살에 1월이나 똑같지 않을까? 생각하던 나였다. 하지만 막상 내 입으로 '서른', '계란 한 판'이라는 단어를 내뱉을 땐 어쩐지 청춘이 끝나고 '사회적 역할을 해야 할 어른'이라는 생각이 들어 삶에 대해 정리되지 않은 여러 가지 생각이 몰아쳤다.
나는 이정표가 될만한, 나를 다독여줄 만한 책이 필요했다.
자기계발 서적을 판단하는 데 있어 약간 까다로운 안목 덕분에 반신반의한 눈으로 이 책을 넘겼지만,
저자는 노련하게도 '이미 인증된 대중적인 책'의 문장들을 인용하며 나를 사로잡았다.
이미 유명한 책들의 문장들을 사용하여 자신의 책을 엮는다는 건 책 정체성에 있어 저자에게 큰 모험이 아닐까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다양한 책에서 뽑은 했다. 그런 부분에서 저자의 편집기술이 대단하다고 느꼈다.
책에서는 정말 다양한 내용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어른 아이, 삶의 의미, 프로불편러, 편견과 차별, 포노 사피엔스, 진정한 부자, 금융문맹, 문명, 진짜어른, 전체주의, 낭만주의 딜레마, 고슴도치 딜레마, 관계, 업무생산성, 무기력한 직장인, 건강 등의 인생을 정리하고 내다볼 나이 서른 즈음에 주로 생각하는 인 내용이 많아 다소 이 있다.
당연하게도 . 책을 읽다가 와닿는 구절은 필기하는데, 공책에 다 담을 수가 없었다. 인상적이고 나의 가치관과 맞물려 정리된 부분을 말해보자면, 을 이야기한 내용이다. 노인의 특징은 책임 없는 권리만 주장하며 과거의 영광에 머물러 있는 사람이고, 어른은 시대적 책임을 위해 권리를 내려놓을 정도로 무르익은 존재라고 한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나는 큰 깨달음을 얻었고 새삼 '서른=어른'을 상기하며 시대적 책임을 느꼈다. 한편 우리 주변에 있는 책임과 의무는 하지 않고 권리만 요구하는 노인들을 떠올리며 나는 저런 식의 사람은 되지 말아하지 다짐했다.
책을 읽으면서도, 혹시라도 내가 대충 읽고 지나친 중요한 문장이 없는지 자문할 정도로, 시간이 많다면 분명 다시 읽고 되새김질을 하고 싶을 정도로 가치 있고 욕심나는 문장과 단어들이 많았다. 당연하게도 인용된 책의 대부분은 읽어보고 싶다는 욕구가 잃었고, 이 책을 읽으면서 얻은 좋은 책들에 대한 정보로 하여금 삶의 이정표가 될 책을 찾길 바란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