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하나의 조선 - 시대의 틈에서 ‘나’로 존재했던 52명의 여자들
이숙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또 하나의 조선'은 남성들의 나라 조선시대에 여자로 태어나 그 속에서 각자의 '나'로 존재했던 52명의 조선의 여자들을 소개한다. 굳이 인식하지 않았지만 안 그래도 옛날 문서에서는 남성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만 접할 수 있었고 여성들의 삶을 이야기하는 창구는 거의 없었다. 옛날 여성들의 하루 일과는 어땠을까,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떤 일들을 하고 살았을까 궁금하다.

책에서는 남편의 일기장에서 모습을 보인 김돈이, 인생역전 유모 봉보부인 백씨, 자산관리의 달인 화순 최씨, 부당한 이혼에 맞선 신태영 그리고 드라마나 책으로 익숙한 대장금이나 장희빈 이야기 등이 담겼다.

이렇듯 여자라는 공통점만 가지고 있는 다양한 계층, 평범한 사람들의 소소한 삶의 모습들을 들여다보는 게 쏠쏠한 재미가 있다. 특히 자산관리의 달인 화순 최 씨 이야기를 읽을 땐 작은 웃음이 나기도 했다. 유명하고 위대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이제 식상하다. 평범한 사람들의 소소한 일기 같은 글들이라서 오히려 더 재미있게 읽었고 조선이라는 시대의 한 모습을 본 것 같아 가까워진 기분이다.

책에 나온 조선시대 여자들의 이야기를 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자연스레 여성인 나의 현제 삶과 반추해보았다. 얼마 전 여성가족부 폐지 주장에 따른 여성가족부 존치에 관해 여성가족부 장관이 발표한 글이 회상되었다. 나의 성별도 여성이지만 지금 사는 세상에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다고 생각한 적이 거의 없기 때문에 나와 상관없다는 눈빛으로 대충 읽어보고 말았는데, 어쩌면 여성가족부의 존치 여부가 내가 지금 성별에 대한 차별을 거의 못 느끼는 수준인 이유가 될 수 있겠구나 싶어 다시금 장관의 글을 찾아 읽어보았다.

또 하나의 조선이라는 책을 보면서 조선시대에 여자라는 이유로 자신의 삶을 살기 어려웠던 여자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자취를 남긴 글을 볼 수 있어서 좋았고, 더불어 여성가족부에 좀 더 관심을 갖고 지지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