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숲, 다시 보기를 권함
페터 볼레벤 지음, 박여명 옮김, 남효창 감수 / 더숲 / 2021년 6월
평점 :
이목을 이끄는 거친 표지와 제목으로부터 나오는 아우라가 멋져보인다.
평소에 자연과 동식물에 관심이 많은 터라 이 책이 눈에 들어왔다. 숲을 바라보는 나의 눈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 같아 읽은 책이다.
'누구나 읽어 봄직한 훌륭한 양서'라고 표현된 '숲, 다시 보기를 권함'은 독일의 세계적 생태 작가이자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숲 해설가인 페터 볼레벤이 지은 책이다. 자신이 어떻게 산림경영 전문가가 되었는지부터 시작해 숲에서 배운 것과 체스판 숲의 탄생, 나무들이이야기, 수렵, 보호, 숲의미래 등에 이야기한다.
저자 자신의 이야기가 생각보다는 많이 들어있고 너도밤나무가 아주아주 자주 등장한다. 너무 많이 등장해서 어떻게 생긴나무인지 궁금해 찾아보기도 했다. 그림이나 사진이 있었으면 더 재미있게 책을 보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있다. 너도밤나무는 생존을 위해 참나무 뿌리조직에 파고들어 영양분과 수분을 모조리 빼앗아 살아남기도 한다고 한다는 사실이 새로웠고 신기했다. 이런 신비한 생태계를 보고있자니 나무는 식물이지만 멀리 내다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은 자연에서 배워야 할 점이 많다.
저자는 자연의 개념을 새롭게 인식시켜주었다. 원시림은 자연이고 인간의 손이 닿은 숲은 자연이 아니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자연은 거의 없다. 자연보호에서도 일침을 날리면서도 산업적인 필요를 등한시 할 수 없다는 인정을 하기도 한다. 옳고 그름을 가르기 어려운 문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무에 숲에 대해 많이 배웠고 새로운 시각에서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 숲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보았고 새로운 관심이 생겼다. 숲의 위기는 인간이 숲을 가꾸고 보호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는 주장이 계속 맴돈다. 고기를 먹으려면 동물을 죽여야 하는 것처럼, 불편한 진실안에 내가 관여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 같다는 예감이 외면하고 싶고 불편했다. 자연에 대해 가까이 가면 갈수록 인간의 존재가 지구에게 어떤 뜻일지 고민하게 한다. 이 책도 그런 고민에 일조한 책이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