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산장려 성공시크릿 - 다산코리아 행복코리아를 꿈꾸며
박희준 지음 / 행복에너지 / 2021년 4월
평점 :
품절
대한민국 합계출산율 0.84명이라는 수치에 대한 숙제는 참 어렵고도 단시간에 이루기 힘든 숙제가 아닐까 싶다. 국가적인 숙제이기도 하면서 어쩌면 모든 국민의 숙제일 것이다.
아이를 낳지 않는 부부를 일컫는 딩크족이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서 심심치 않게 보인다. 더 이상 딩크족은 사회적으로 특별한 부류가 아니다. 인구절벽시대, 나라에서는 어떻게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막상 젊은 신혼부부에게는 별로 와닿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나는 젊은 부부에 속하는 사람으로서 의견을 말하자면, 언젠가 라디오스타에서 김이나작사가 언급한 '국가의 숫자를 위해서 아이를 낳을 수는 없다'라는 말이 너무나도 와닿았다. 본인들의 의지가 없으면 출산을 하는 것은 어렵고 안되는 일 아닌가. 왜 젊은 부부는 의지가 없을까? 하는 의문에 깊이 생각해 봤는데, 사회생활을 하기 전에는 외동으로 자란 나는 집에 식구가 많은 것이 부러워 5명을 낳고 2층 집에 사는 것을 꿈꾸곤 했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면서 출산에는 여러 가지 장벽들이 있었다. 크고 작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몇 가지만 말하자면 5명을 낳자면 외벌이로 적어도 10년 이상은 살아야 하는데 경제적인 여건이 부족하고, 둘 다 일을 한다고 해도 키워줄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만약 나라에서 0세에서 8세까지 안전하게 키워준다고 보장이 된다면 1명이든 5명이든 낳을 의향이 있다. 그보다 더 큰 이유는 부부가 서로의 삶에 집중하면서 시간과 금전적인 부분을 소비하면서 아이를 갖지 않아도 충분히 행복하기 때문이다. 아이를 정말 좋아하지 않는 이상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젊은이들이 마음 놓고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도록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은 상대적이면서도 작은 부분까지 많은 노력이 들어야 하는 만큼 쉽사리 답을 내기 어려운 일 같다.
'출산장려 성공시크릿'은 (사)한국출산장려협회에서 저출산 인식 제고에 한 축을 담당하고자 이 책을 펴냈다. 출산장려협회라는 것이 존재하는지도 몰랐는데 책이란 매체를 통해 존치 유무를 알게 되었다. 읽으면서도 경고성이 짖는 구호가 머릿속에 맴돌았다. 저출산, 고령화, 출산율, 비상사태, 인구 절벽... mayday! mayday! 외치는 듯하다.
여러 기관과 다수의 사람들의 염원이 담긴 책이라서 그런지 추천사와 경축 시조, 한출협의 연혁 등이 포함된 것이 인상적이었다. 아무쪼록 결국 말하고자 하는 바는 국가에 이바지하는 말이기에, '출산장려 성공시크릿' 책 서문에서 염원했듯 많은 사람들이 읽는 필독서가 되었으면 하는 작은 바람이다.
- 이 서평은 책과콩나무서평단으로부터 리뷰단 모집에 선정되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