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선생
곽정식 지음 / 자연경실 / 2021년 3월
평점 :
시골에서 자라서 그런지 곤충을 만지는 건 두렵지만 정글이나 곤충 관련 다큐를 보거나 '충선생'과 같은 곤충 관련 서적을 보는 걸 좋아했다. 나는 외계인이 있다면 곤충과 같은 형태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산다. 또 곤충들은 각자 나름의 독특한 방식으로 발달해 번식을 하고 살아가는 걸 보면 정말 신선하고 '저렇게도 사는구나' 싶은 생각에 어떤 환경에서도 적응하고 묵묵히 자신의 의무를 수행하는 삶을 본받아야겠다 생각해왔다.
'충선생' 에 담긴 스물한 종 곤충들 또한 이름만 들어도 나와 함께한 추억들이 생각나 반가웠다. 기괴하고 만지기는 어렵지만 밉지 않은 친구들이랄까? 살면서 잠자리와 매미, 꿀벌, 귀뚜라미, 땅강아지 같은 곤충들과 추억이 없는 사람이 있을까? 책을 읽으면서 '곤충이 이렇게 매력적일까?'생각하면서 겉모습과 간단한 정보만 알고 있던 곤충들에 대해 조금 더 심도 있게 생태를 들여다보는 시간이었다. 더불어 연관된 역사 이야기나 속담 같은 담소를 곁들어져 있어 유익하고 지루하지 않았다.
인간과 연결 지어 생각하지 않고 오롯이 각 곤충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생태에 대해 생각해 보니, 새삼 모기든 파리든 바퀴벌레든 그저 각자의 삶에 충실할 뿐이라는 생각에 이렀다. 그리고 곤충과 인간관계를 생태적 공동체의 시선에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어쩌면 지구에서 하나의 동물일 뿐인 인간이 동료 생명체를 박멸하고 마치 지구가 오롯이 인간의 것이기만 하는 태도는 다시금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친환경이라는 말이 어쩌다 나왔을까? 인간을 위해 살충제를 뿌리는 것은 지극히 모순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제목인 '충선생'처럼 곤충을 존중하고 곤충과 연결 지어 생각하는 다양하고 폭넓은 저자의 생각과 지식이 인상적이고 많은 유익함을 느꼈던 책이다.
- 이 서평은 책과콩나무리뷰단 모집에 선정되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