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루이 비뱅, 화가가 된 파리의 우체부
박혜성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1년 3월
평점 :
루이 비뱅 화가는 실제로 있었던 분이다. 1861년 프랑스 어느 지방에서 출생한 그는 성인이 되어 프랑스 파리에서 우체부가 된다. 우편배달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보는 파리의 풍경을 틈틈이 그림을 그려 우체국에서 개최하는 작품 전시회에 출품하기도 하고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은퇴 후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61세 루이 비뱅은 10여 년간 그림을 그리고 사망한다. 그가 사망하고 1년 뒤에서야 뉴욕현대미술관, 파리 퐁피두 센터 등에 전시하면서 이름이 알려졌다.
'루이 비뱅, 화가가 된 파리의 우체부'에서는 4개 파트로 나눠져 있고 제목처럼 루이 비뱅의 인생과 그가 그린 그림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루이 비뱅의 그림도 많은 부분 삽화되어 있는데, 파리 서민들의 일상이 담겨있다. 파리는 가본 적 없지만 그냥 동네도 그림의 소재가 될 만큼 아름다운 도시인 것 같다. 그림을 보는 눈은 없지만 나는 두 마리 비둘기와 화려한 금색 건물 앵발리드가 가장 마음에 들었다. 화려하고 눈에 띈다. 조화가 잘 어우러져 있고 따뜻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림 작품은 왜 작가가 죽고 나서야 가치가 상승하는 걸까? 그가 살아 있었을 때 그 그림의 가치를 알아주었더라면 그는 정말 행복했을 것 같다. 미술에 무지한 나에게 한 명의 화가 친구가 생겼다. 살면서 언젠가 그의 이름이 들릴 때 나는 그의 친구처럼 대할 수 있을 것 같다.
청소년 때에는 꿈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듣고 나누고 내뱉었는데 나이를 먹고서는 꿈이라고 하면 그냥 어린이들이나 꿈꾸는 철없는 허상과 같은 단어다. 나는 어린 시절 꿈이 무엇이었나? 지금 다니는 회사를 퇴직하고 할 수 있는 일일까? 그런 기회가 있다면 나는 루이 비뱅을 떠올리며 조금한 용기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루이 비뱅의 말처럼, 중요한 것은 결과가 아닌 과정이란 사실이다. 꿈을 꾸는 것 자체가 행복한 삶이라 한다. 어린 시절 꿈이 있다면, 루이 비뱅처럼 지금 이뤄봄을 묻는 책이다. 내가 죽고 나서 그 가치를 알아봐 주는 사람들이 생길지도 모르니.
- 이 서평은 컬처블룸리뷰단으로부터 리뷰단 모집에 선정되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