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 맞지 않는 아르테 미스터리 18
구로사와 이즈미 지음, 현숙형 옮김 / arte(아르테) / 2021년 3월
평점 :
품절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을 떠오르게 하는 소설 '인간에 맞지 않는'

처음 변신을 읽을 때에도 그 신선한 충격은 내 평생의 잔상으로 남았는데 인간에 맞지 않는 또한 비슷한 맥락인 것 같다. 더 이상 인간의 기능을 하지 못한 아들 유이치를 버릴 수 없어 어떻게든 보듬고 가려는 엄마 미하루의 처절한 몸부림과 엄마와는 반대로 하루아침에 변한 아들을 쓰레기 취급하는 아빠 이사오의 상반된 모습은 이 소설의 상황을 극에 달아오르게 한다.

엄마와 아빠 그 누구도 옳다고 편을 들 수 없다. 참으로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결국 영혼이 없는 생명체는 결국 지속적인 사랑을 받을 수 없으며 그것을 결국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자신의 숙제이다.

내가 궁금했던 건 괴물로 변한 아들이 얼마나 두렵고 무서웠을까에 대한 연민이다.

아들 유이치가 어느 날 갑자기 변했다 하더라도 엄마의 '올 것이 왔다'라는 대목에서 엄마와 아빠는 예견된 일이었음을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아쉬웠던 점은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노력을 기울였어야 되지 않았나 하는 의문이다. 내가 부모라면 소중한 아들을 잃지 않기 위해 가만히 방안에만 두지 않았을 것이다.

어떤 벌레나 동물의 형태에 머물지 않고 나무의 형태로도 변하는 등 다양한 모습에 상상의 범위가 넓어져, 과한가 싶으면서도(이미 설정이 과하지만) 신선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ㅎㅎㅎ

더 나아가 사람이 죽으면 땅으로 돌아가 듯, 나무가 된다면 어떨까 생각해 봤다. 당장 죽어 내가 나무가 된다면 생각하니 썩 나쁘지 않기도 하고 기피시설로 치부되는 묘지시설보다는 평판이 좋을 것 같고 남은 가족들도 나무를 돌본다면 경관과 환경, 비용, 정서에도 좋지 않을까?

제한 없이 상상의 범위를 뛰어다니는 소설이라는 특유의 매력을 흠뻑 젖을 수 있던 아주 매력적인 이야기였다. 과한 설정에 처음엔 얼떨떨하지만 금세 이야기에 빠져 책을 손에 놓기가 어려울 지경이었다. 괴이한 이야기를 좋아하고 신선한 상상을 하고 싶은 이들이게 추천하고 싶다.

- 이 서평은 몽실서평단으로부터 서평단 모집에 선정되어 제공받아 작성되었으나 읽고 싶어서 신청하였고 솔직히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