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림 세라 워터스 빅토리아 시대 3부작
세라 워터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옥이라는 배경

한때, 나는 감옥이 편안할지도 모른다고 여겼다. 갈색 박스 위에 앉아 추위와 배고픔에 노출되어 구걸하는 사람을 볼 때면 그렇게 생각했다. 감옥은 자유를 빼앗지만 의식주를 해결하고 보호를 받으며 아무런 부담 없이 그저 시간만 보내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설을 읽는 내내 묘사되는 감옥의 엄청난 규모와 중압적인 무게감을 다시금 인식하고 두려웠다. 그 모습은 너무나 생생했고 내가 마치 어두운 방에 갇힌 도스가 된 기분이었다. 그런 기분으로 내내 소설 속에 살았다.

끌림이 의미하는 것

처음 마거릿은 감옥에 있으면서도 척박한 빌뱅크 땅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보라색 꽃을 손에 쥔 죄수 도스에게 관심이 생겼을 것이다. 도스와 이야기하며 연민이 생기고 외로움에 휩싸인 자기와 같다는 착각에 위로를 받았을 것이고(마거릿은 자신이 도스를 위로해 준다고 생각하지만) 셀리나를 만날수록 현재 상황에 놓인 자신을 부정하고 '내 반쪽', '영혼이 나를 떠나 그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느꼈다'라는 둥 구구절절한데 내가 아쉬웠던 건 끌림에서 집착으로 넘어가는 계기를 잘 모르겠다. 감옥에 있는 영매에 꾀어 점점 미쳐가는 마거릿을 보며 안타까웠다.(엄마는 무슨 죄람?)

어쩌면 소설 제목과 반대로 도스가 마거릿에게 끌림을 느낀 것이 아닌, 아빠 자리를 대신할 누군가 자기를 끌어주고, 위로해 주길, 알아주길 바람에서 나온 자발적 끌림이 아닐까.?

세라 워터스의 2번째 책, 이번엔 동성애 아닌 스릴러!

이렇게 두껍고 부담스러운 책에 눈길을 가둬두게 하는 글의 힘. 이건 정말 엄청난 능력이다.

그래서 아직까지 재번역이 되어 출판되었나 보다.

아찔했던 '티핑 더 벨벳'과는 또 다른 잔잔한 끌림이 있는 세라 워터스의 '끌림'

동성애에 관한 책이 아닌 긴장감을 늦을 추 없이 뒤로 갈수록 외줄 타듯 스릴감이...! 엄청났다.

동성애, 강신술, 감옥, 영매라는 장치에 장르를 속지 말자

감옥과 영매라는 도구를 가지고 독자의 눈을 흐릿하게 한다. 그리고 그 기묘하고도 몽롱한 세계로 인도한다. 하지만 소설 마지막에는 그렇듯 소설이 아닌 이것이 현실임을 일깨워 준다.

- 이 서평은 몽실서평단으로부터 서평단 모집에 선정되어 제공받아 작성되었으나 읽고 싶어서 신청하였고 솔직히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