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과 개
하세 세이슈 지음, 손예리 옮김 / 창심소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들어가는 말

반려견인 '콩'을 키우는 입장에서 이 책이 주는 의미는 다른 수많은 반려견이 받는 것과 다르지 않을 것 같다. 물론, 개를 키우지 않는 사람들은 당연하게도 이해하지 못할 것이고, 신체적 이유(알러지)나 경제적 상황 혹은 주거, 생활 환경 때문에라도 못 키우는 사람들 역시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반려인들이 느끼는, 반려견을 키우는 이유는, 그들이 사료나 보금자리 제공 혹은 산책을 시켜주고 같이 놀아준다는 반대 급부적인 것들 때문에 우리를 사랑해서가 아니라, 그저 본능적으로 옆에 있는 우리를 사랑해주고 지지해준다는 것이다. 소설 속의 다몬이 매우 듬직하게 주인공들을 보살펴주는 반면, 우리 콩이는 귀여움으로 우리를 치유해준다는 점만 조금 다르달까. 그럼에도 생각보다 읽는 내내 콩이 생각은 별로 나지 않았다. 아무래도 우리 콩이는 믿음직스럽지는 않은 모양이다. (웃음)

쓰나미 이후 5년간 이어지는 여정

다몬의 여정은, 종국에서야 드러나지만 한 소년을 만나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소설적 추측이지만, 바로 그 소년이 쓰나미로 입은 상처를 치유해줄 뿐만 아니라 다시 겪게될 위기에서 그 소년을 지켜내주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단순히 운명적으로 한 개가 한 소년을 사랑하게 되고, 미래에 발생할 사고를 미연에 본능적으로 감각하여, 사고로부터 소년을 지키기위해 5년 간의 여정을 이어간다고 이 소설을 축약하기에는 아쉬움이 너무 크다.

다몬은 그 5년 간 1,700키로미터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했다. 한때 광고의 모델로도 쓰였던 진돗개가 500키로미터를 헤매어 주인을 찾아갔다는 이야기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이 소설이 내내 들려주는 것은 단순히 그런 감동스토리가 아니다. 다몬의 목적은, 존재 이유는, 단순히 그 소년만을 위한 것은 아니었던 것이다.

다몬은 여행하면서 치매에 걸린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범죄에 휘말리는 한 청년의 삶을, 어려서부터 쓰레기더미에서 살아남아 절도로 물든 한 범죄자의 인생을, 화류계의 여자로 자신을 빨아먹던 흡혈귀같은 남자를 죽이고 만 슬픈 여자의 말로를, 아내를 암으로 떠나보내고 본인도 암으로 그 뒤를 따르려는 한 사냥꾼의 마지막을 만져주고 위로해준다. 그 어느 순간, 사람이 혼자라서 너무 외롭고, 타인과 나눌 수 없다고 여겨지는 난관에 부딪혀 헤매고 있을 때 듬직하게 네 발로 땅을 딛고 서서는 가야할 방향을 바라보고 나서 뒤를 돌아 눈을 맞춘다. 그리고 사람이 마음을 다잡으면 먼저 발을 뗀다. 다몬은 그렇게 5년간 만난 사람들을 모두 다독여 주고서야 본인의 마지막 꿈이자 바램이며 숙명이었던 소년을 지켜내고는 생을 마감한다.

그들의 의미

콩이를 산책시키다보면 여기저기 치우지 않은 배변들이 많이보인다. 또한 산책을 하다보면 목줄을 하지 않고 다니는 견주들도 많이 보인다. 한번은, 이렇게 길가에 배변이 많은 것은 어찌보면 반려견들에 대한 복지가 그만큼 향상된거 같다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만큼 산책을 많이 시킨다는 것이니까. 하지만, 전에 콩이를 키우기 전의 나를 생각하자면, 매우 불편한 상황이기는 하다. 일부의 견주들 때문에 오히려 우리가 그리도 아끼는 반려견들은 욕을 먹어야만한다. 반려견의 복지에 우선해서 아무래도 반려인의 인식이 향상되야할 것이다. 최소한의 기본은 지켜야만 우리는 우리의 옆에서 우리를 위로하는 그들이 단순히 짐승이 아니라 우리 삶의 일부로 들어와 우리를 감싸주는 존재들임을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반려견들을 어디까지 인정할 것이냐는 개개인의 문제이고 영역이다. 누구도 본인이 개를 키운다고 해서 타인도 역시 개를 소중히 여기고 마치 한 가정의 일원인 것으로 예우하기를 요구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그렇다고해서 타인의 반려견에 대해 하찮은 미물 쯤으로 여기는 것 역시 지양해야만 한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견주가 최소한의 기본은 갖추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그 견주가 기본을 갖추지 못한 것이 반려견의 잘못은 아님을 한번쯤은 생각해주시기를 반려인으로써 부탁드리고 싶다.)

개를 키우든 그렇지 않든, 분명 인간이 배워야할 것은, 그들이 전혀 아무런 반대 급부 없이도 함께하는 인간에게 무한한 신뢰와 사랑을 보낸다는 것이다. 우리 인간들이 그런 감정을 가지는 것은 오로지 부모가 자식을 바라볼 때 뿐이다.

바로 그런 이유로, 우리는 개들의 사랑을 함부로 무시해서는 안되며, 간악하게 그런 점을 이용해서 학대해서도 안된다. 단지 우리는 꼭 그들의 사랑을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마음으로 함께 존재해가면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소년의 말 처럼, 대부분 우리보다 먼저 떠나는 그들을 영원히 가슴에 담고 기려주면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