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드림 팀 (The Dream Team) - 보이지 않는 것들과의 공조
김지오 지음 / 바른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들어가는 말

시나리오가 그 전제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시각화를 그 목적으로 한다는 것. 그렇다는 것은 너무 세세한 장면 묘사가 독자로 하여금 불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애초에 시나리오로 씌여진 것을 굳이 소설로 엮어 내려는 것이었다면, 분명 작가는 이보다 더 공을 들여 문장이나 표현을 더 다듬어야할 의무가 있었다.

게다가, 시나리오를 그 바탕으로 한다는 것은 정말, 참신한 소재가 아니라면 탄탄한 구성이라도 기저에 깔려 있어야 한다. 하지만, 그 두가지 방면에서 살펴보건데, 그 어느 편도 내게 만족스럽지만은 않았다고 생각한다.

소재도 참신하지 않은데, 표현마저 구식

소재가 참신하지 않다는 것이 얼마나 속편한 평인지는 논외로 치더라도, 서평을 씀에 있어서 이 말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은, 그만큼 이 책의 소재가 식상하다는 것이다. 일부 스포일러가 포함될 수 있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단적으로 말하자면, '보이지 않는 것들과의 공조'라는 표지에 씌여진 단 한 문장에서 거의 대부분의 스토리가 잡힌다고 보면 되겠다.

게다가, 전체적인 스토리 진행에 있어서도 (물론, 소설 자체가 시나리오를 그 근간에 두고 있다는 것이 그 한계를 어느정도 인정하게 한다손 치더라도) 배경 설명이 전혀 없는 등장인물이나 상황 전개, 스토리와는 무관하지 않지만 굳이 많은 페이지를 할애하여 적을 필요가 없는 상황 표현 등은 쌩뚱맞다는 말이 적당할 정도로 두서없다.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아무리 그 근본이 시나리오였다손 치더라도, 작가가 이를 소설로 각색하여 출판을 했을 때에는, 독자들을 위한 최소한의 예의로라도 일부 손을 볼 필요가 있지 않았을까 싶다. 전체적으로 1인칭 시점인 이 소설이 독자에게 그나마 설득력(앞뒤 상황 전개의 이유라든지, 그 원인이라든지, 세계관에 대한 설명이라든지 하는)을 주기 위해서는 시점이라도 변경하는 노력이 필요했다. 추리소설이 아닌 이상, 이런 SF류, 특히 그것이 이세계(異世界)를 소재로 하는 경우라면 더욱 그렇다. 보면서 내내 궁금함이나 의아함이 생겨야 하는 것은 추리소설이지, 상황이나 사건마다 그 배경이 대체 무엇인지 궁금해해야하는 판타지는 흥미도가 떨어진다.

판타지를 좋아한다면 식상하고, 안 좋아한다면 식상하진 않지만 이해를 못한다.

개인적으로 웬만한 판타지는 거의 마스터했다고 자신할 정도로 많이 읽은 편이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판타지가 그 글의 흐름이 비슷할 수 밖에 없다는 부분도 어느정도는 인정한다. 하지만 나처럼 판타지를 꽤나 읽어본 독자라면, 이 책에 대한 감상은 나와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대부분의 영화, 소설에서 나왔던 여러 스토리들을 적절히 섞어놓은 듯한 스토리. 그러니 식상하지 않으면 되려 이상하다. 죽은 무당 어머니, 전생의 연이 닿은 여인, 운명을 타고난 주인공, 고대부터 신을 거역한 자, 이승과 저승의 공조. 딱 이 정도 나열만 한다해도 아마, 판타지 하드 리더(Hard Reader)라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 확률이 높다.

게다가 더욱 큰 문제는, 그렇게 절레절레 고개를 흔들면서도 결국 판타지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읽게 마련이고, 그 읽는 주된 요인은, 이제 스토리를 넘어서 작가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화술, 유머, 위트 등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이 책 어디에도 그런 요인은 보이지 않을 뿐더러, 앞서 계속 이야기하지만 시나리오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문체때문에 그 몰입감도 떨어진다는 것이다.

거기다 만약에, 평소 판타지를 전혀 즐기지 않는 부류의 독자라면 이런 배경 설명이 없는 1인칭 시점의 판타지는 애초에 흥미 자체를 일으키지도 못한다는 사실이다. 약간의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지만, '루시퍼'라는 존재가 어떤 의미의 존재인지 알고 있으려면 최소한 판타지를 어느정도 읽어보았거나, 적어도 모태신앙으로 성경을 몇 년은 공부한 사람이어야한다는 것이다. (첨언하자면 성경공부한 사람들은 이런 판타지를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애초에 귀신이나 토속신앙은 배척하는 종교니까.)

결론적으로 그 양자 어느 독자의 선택에서도 만족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다. 다만, 원래 시나리오를 그 목적으로 쓴 작품이므로, 이를 영상화하고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영화로는 또 대박이 날지, 그건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