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가장 가까운 적, 성병
엘렌 스퇴켄 달 지음, 이문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작가는 노르웨이 성 건강 전문센터에서 근무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성병에 관한 기본지식과 유래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준다. 책에는 11가지의 성병이 나온다.
그중 아는 것도 있지만 처음 듣는 것들도 많다.
임질, 헤르페스, 생식기 사마귀, 매독, 질편모충염, 클라미디아, 사면발이, 자궁경부암, 미코플라스마, 옴, HIV와 AIDS
성병이라는 단어 자체가 주는 느낌은 창피하다, 문란하다등이다. 그러나 성병이 꼭 도덕성과는 관련이 없으며 사람이 살아가면서 성생활을 떼어놓고 지낼수 없기에 자연스러운 일이다. 요즘은 약이 좋다보니 HIV감염자도 정상적인 삶을 수 있으니 말이다. 알고 대처할 수 있도록 지식을 습득해 두는 것이 중요할 듯 싶다.
책에서 친숙한 질병은 헤르페스와 자궁경부암 부분이었다.
입술물집은 피곤하면 자주 생기고 자궁경부암은 출산 후 매년 검사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피할 수 없는 질병이라면 우리에게 방패가 될 수 있는 건 무엇인가? 가장 간편하면서도 중요한 예방법은 바로 콘돔이다.
콘돔 사용으로 많은 질병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할 수 있는데 여러 이유로 꺼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의학의 발전으로 지금은 성병에 걸렸다고해서 사망을 하는 사람들은 극히 드물다. 지금의 치료법이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 수많은 환자들의 고통과 죽음, 치료법을 연구한 의사들 노고에 대해서도 알수 있게 되었는데 끔찍했던 부분들도 있었다.
가장 가까우나 가까이 하고 싶지 않은 성병!
📚내가 성병을 치료하고 성병에 관해 글을 쓸 때는 예정표와 목표가 있다. 나의 목표는 사람들이 분비물과 물집을 좋아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이러한 질병에 대해 약간 덜 극단적인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다.p45
📚섹스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사랑스러운 경험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삶에는 질병을 피하려는 투쟁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p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