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저도시 타코야키 - 김청귤 연작소설집
김청귤 지음 / 래빗홀 / 2023년 3월
평점 :
빙하가 녹아 무너지며 해수면이 상승하고 육지에 사는 생명체들은 살 곳을 잃어버렸다. 풍족했던 과거의 삶과 달리 모든 것이 부족하고 생존마저 위험한 물에 잠긴 지구. 바다를 테마로 한 연작 소설집 ‘헤저도시 타코야키’는 육지는 없고 바다뿐인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바다에서 살아가는 인류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 공포와 절망에 물든 사람들은 어렵고 느린 길보다 빠르고 결과가 확실한 방법을 택했다. 그때라도 멈춰야 했을까? 타임머신이 발명되어 과거로 돌아간다고 해도 다른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인간은 늘 이기적이기에. (p. 11)
- 바다로 들어가는 인간은 두 부류였다. 죽고 싶어서, 혹은 살고 싶어서. 과거에서부터 잠들어 있던 미생물과 바이러스는 인간의 유전자에 영향을 주어 변이시켰다. 그게 인간을 살릴지, 죽일지는 바다에 맡겨야 했다. (p. 42)
빙하가 녹으며 그 안에 있던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퍼져 죽어가는 사람들, 바이러스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노력을 그린 <불가사리>
바닷속에 잠긴 물건들을 건져 생활하는 사람들, 인간들의 욕심 때문에 학대당하는 돌고래를 구하려는 <바다와 함께 춤을>
물속에서 살아갈 수 있게 적응된 새로운 인류 수인(水人), 바닷속 동물들과 교류할 수 있는 수인의 능력을 이용하려는 이기심 가득한 배 인간들 <파라다이스>
해저 도시를 세우고 살아가는 인류, 그들에게 필요한 식량과 물품들을 배달해주는 수인 배달부들. 더 이상 생존이 불가한 도시에서의 마지막 배달 <해저도시 배달부>
해저 도시의 돔 벽을 청소하기 위해 태어난 청소부가 우연히 만나게 된 타코야키 트럭 <해저도시 타코야키>
바닷속에 남겨진 쓰레기를 치우는 수인. 바다가 다시 살아나고 회복되길 바라는 크리스마스의 기적 <산호 트리>
- 나도 언젠가 바다의 일부가 될 테니, 그 전까지는 바다를 더 자유롭게 만들고 싶었다. 돌고래들을 구하는 인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를 잡겠다며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 사람들도 생겼다. 그들이 작살을 던지고 배 옆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주먹을 날려도, 내가 할 수 있는 걸 하고 싶었다. (p. 80)
바다를 배경으로 한 여섯 편의 소설들은 우리가 환경을 바다를 파괴하고 지키려 노력하지 않으면 이런 미래를 만나게 될 것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보여주는 것 같았고 바다라는 배경 때문인지 이전에 보았던 비슷한 장르의 소설들과는 다른 느낌을 주었다. 바다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사람들, 적응하지 못하고 배 위에서 떠돌 듯 생활하는 사람들, 유전자 변이를 통해 새로이 만들어진 인류 등의 모습을 통해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이기심을 채우기 위해서 바다를 망치고 생명들을 아무렇지 않게 헤치는 모습 그와 반대로 바다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가족과 친구들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내던지는 사람들의 상반된 모습을 보여준다.
- 해류가 바다 표면부터 깊은 바닷속까지 휘젓는 시기가 오면 하얀 알갱이가 바닷속에 가득했는데 그게 마치 눈처럼 보였다. 온 바다가 뒤섞인 후 더 깨끗해지는 걸 본 뒤로 우리는 어느 순간부터 눈이 내리는 날을 크리스마스라고 불렀다. 이전 크리스마스 보다 이번에 더 적은 눈이 오기를, 거센 물살을 통해 죽은 바다가 살아나기를, 크리스마스의 기적이 오기를 우리는 바라고 있었다. (p. 246~247)
- 우리는 멸망과 죽음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지만, 그래도 웃는 날이 더 많을 거라 믿었다. (p. 33)
절망적이고 최악의 상황에서도 살아남기 위해, 소중한 것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개인과 공동체들의 모습은 희망이 사라진 세상에서 작은 희망의 빛을 보여주었다. ‘해저도시 타코야키’ 속 이야기들을 읽으며 모든 것이 풍족하고 풍요로운 세상에서 너무나 당연하게 여겼던 것들을 돌아보고 소중함과 고마움을 느끼게 해준 이야기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