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누구의 아바타일까 ㅣ 사계절 1318 문고 43
임태희 지음 / 사계절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청소년 소설을 닥치는대로 읽어내리는 중에 특이한 제목과 표지 때문에 덥석 빌려온 책 한 권.
아, 임태희. 나는 이 작가가 쓴 <내 꿈은 토끼>라는 책을 읽은 일이 있었다. 토끼나 나비를 장래희망으로 말하던, 어른들 때문에 힘든 아이들의 모습이 기억에 남아있던 책. 아, 그 작가가 이런 책도 썼구나. 역시 제목이 특이하군. 그리고 책을 읽었다.
"깨달음에는 아픔이라는 계기가 필요하다./ 아픔을 모르는 자는 본질에 닿을 수 없다."
깨달음, 아픔, 본질 등의 단어는 꿈꾸는 나이 청소년들에게는 가시같다. 보이지도 않는게 수시로 찔러대기 때문이다.
주인공이자 화자인 영주, 그리고 친구 화와 손. 친구들 이름에 비해 주인공이름은 지극히 평범하다. 이름이 말해주는 대로 영주는 이 시대 청소년들의 일반적인 모습일까. 가족을 힘들게 하던 아빠의 갑작스런 죽음, 자살을 시도했던 엄마, 성폭력의 기억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영주는 대부분의 이땅의 아이들보다는 훨씬 고통스런 현실을 살고 있다.
화, 그 아이는 끝까지 읽어도 정체성을 알 수 없다. 또래 남자아이를 둔 아저씨와 원조교제를 하고, 절친한 친구를 순간순간 배신하지만, 결국 자리를 찾아 되돌아오는 아이. 화가 왜 그렇게 해야만 했는지 작가는 불친절하게도 설명해주지 않는다.
손. '천상교'라는 이름을 걸고 점을 봐주는 엄마를 둔 아이. 이복동생 수지라는 아이를 볼모로 아빠와의 싸움을 그치지 않는 엄마틈에서 조금씩 마음과 정신이 병들어가고 성폭력의 기억에 자해까지 서슴치 않은 아이 손. 불행의 그림자까지 이불처럼 둘러쓴 채로 살아가는 손은 이미 영주를 만나기 전부터 끔찍한 시간을 버티는 아이였다.
영주, 화, 손. 이 세 아이의 이야기는 영주가 손의 도움을 얻어 쓰는 소설 속에서 조금씩 뚜렷해진다. 세 아이는 모두 어른들 때문에 아팠고, 계속 아프고 있다. 하지만 주인공 영주의 깨달음이 그들의 아픔을 위로하고 그들은 본질에 닿으려고 애쓰며 살게 된다. 그런데 본질은 뭘까?
글을 쓰다 너무 아파서 도망하고 싶기도 했다던 작가의 머리말대로 이 책은 아프다. 그런데 왜 어른들은 하나같이 이 아이들보다 더 아픈 걸까. 아이들의 머리를 쓸어주고, 넘어진 아이들을 일으켜 세워주고, 멀리 등불처럼 길을 비춰주는 그런 어른들은 왜 하나도 없는 걸까. 나는 읽다가 그게 슬프고 아팠다.
우리는 모두 빛도 없는, 언제 끝날 줄 모르는 청소년의 터널을 지난다. 대부분 제 힘으로, 더 가끔은 친구의 위로로, 간혹 운 좋은 한 둘은 인생의 스승같은 어른들의 손을 잡고 그 터널을 간.신.히 빠져나온다. 그래서였을까. 그래도 나는 우리 아이들이 넘어지더라도, 잡아줄 손 하나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아바타, 누군가 입혀주는대로, 꾸며주는대로 그대로 아무 감정없이 우리는 살 수 없다. 아바타처럼 살면 안 된다. 우린 아바타가 아니니까. 나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이기 때문이다.
영주, 화, 손. 세 아이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도 그 때의 아픔들이 아직도 가끔은 콕콕 찌르겠지. 하지만 가시도 없이 어떻게 어른이 되나. 가시를 품은 장미만이 환하고 예쁜 꽃을 피운다면 너무 상투적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