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 않는 대화 -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에서 찾은 설득의 기술
다카하시 겐타로 지음, 양혜윤 옮김 / 라이스메이커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인간은 태어나면서 사회를 벗어날수가 없다. 그러기에 인간에게 있어서 사회생활이라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것이고, 그러한 사회생활을 어떻게 잘하는가에 대한 고민은 사회 속에 사는 모든 사람의 고민일것이다.

 그런 고민 중에 하나가 대화를 잘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런 고민에 대한 해답을 보여주는 책이 이 책이라고 소개하고 싶다.

 이 책의 제목처럼 지지 않는 대화라는 것은 우리가 일상을 살아가면서 정말 중요한 부분이 아닌가 생각해보게 하는 제목이다. 특히,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서 대화라는 것은 나의 의도를 전달하거나, 아니면 다른 사람을 나의 의견에 동조 시키는 기능을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화의 기술, 지지 않는 대화를 익힐 필요가 있다.

지지 않는 대화의 화두에 그리스의 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가 있다. 플라톤의 제자이자, 플라톤에 버금가는 학자였던 그는 대화에 기술에 탁월한 일가견을 가졌다고 한다.

 그가 제시했던 여러 대화의 기술 중 하나의 그 사람의 마음을 얻고, 그 사람을 나의 편으로 만들라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하는 변론술이라는 것은 250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우리에게 필수불가결한 부분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것 중 대표적인 것이 토포스다. 토포스란 주장이나 반론을 하기 위한 설득 방법의 패턴을 말하는 데 이것은 논점이나 논법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즉, 대화를 이끌어 나가는 방법 중에 하나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토포스를 잘 활용한다면 어떤 대화도 논리적으로 맞아 떨어지기 때문에 대화를 이끌어가는데 유리한 부분을 선점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토포스에만 의존한다면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서 진실성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해본다.

 그러나, 오랜 시간을 흐른 지금에도 그가 제시했던 토포스와 여러 대화 기술은 지금까지도 활용된다는 것은 그가 얼머나  뛰어난 학자였는지, 대화를 이끌어가는 방법에 있어서도 남다른 차별성을 지녔다는 것이다.

 이 책은 지지 않는 대화라는 제목으로 우리에게 소개되었지만, 어떠한 대화에서 소통이라는 부분이 중요하다는 점을 우리에게 각인시켜주지 않나 생각해본다.

아무리 대화의 기술이 뛰어나더라도 마음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시간의 문제겠지만, 사람과의 거리는 멀어질것이다.

 이 책을 통해 대화를 제대로 활용해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위대한 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대화의 기술을 배워보는것은 어떤지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