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 - 아포리아 시대의 인문학 - 그리스 군주의 거울
김상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처음 접하기 전 키루스의 교육이라는 말을 처음 들었었다. 우리나라의 군주 교육에 대해서는 역사나 교육을 통해서 접했고, 관심도 있어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다. 그러나, 서양의 군주교육에 대한 어렴풋한 기억은 이 책을 통해 왜 키루스의 교육이 군주의 거울인지를 알게 해주는 기회가 되었다.

 서양의 역사는 동양의 역사와 달리 기록과 흔적의 역사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특히, 고대 그리스 문명과 로마문명은 신화와 실재가 점철된 하나의 혼재만 역사와 문화이다. 그러나. 그런 혼재를 통해서 그들은 찬란한 문명을 만들어냈다.

 이 책은 키루스의 교육을 말하기 전 아포리아에 초점을 맞춰 왜 아포리아가 발생했는지를 설명한다. 아포리아란 꽉 막힌 길, 혼돈의 시대 그것이 아포리아인것이다. 즉, 철학의 혼돈, 확실하지 않은 시대, 그러기에 사람들은 혼란과 혼동을 경험하게 된다.

 그것은 아마도 리더의 부재 또는 잘못된 리더의 선택이 국가를 위기에 빠트리거나 아니면 국가의 존재까지 위협함으로서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만드는 위험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그리스 시대의 아포리아가 발생한 계기를 3가지로 이야기 한다. 첫번째가 페르시아 전쟁이다. 동양의 제국 페르시아, 서양의 문명의 상징 그리스가 만났던 페르시아 전쟁은 그리스를 아포리아로 빠트린다. 그것은 리더의 잘못된 선택과 분석이 한 나라를 어떻게 위기에 빠트리는지를 알려주는 것이다. 두번째 아포리아는 소크라테스의 독살이다. 그리스의 대 학자였던 소크라테스를 사형에 처하게 함으로서 그리스는 또 다시 아포리라에 빠진다. 철학의 부재와 지식인의 부재는 그리스의 정신을 흔들리게 할 정도의 큰 위협을 가한다. 철학이 존재하지 않다는 것은 국가 존재의 부정을 뜻하게 되는 극단적인 위기 상황으로 몰고 가는 것이다. 세번째 아포리아는 펠로폰네스 전쟁이다. 동족 상잔의 비극이라고 하는 이 전쟁은 그리스와 스타르타가 잘못된 지도자가 어떻게 나라를 존망을 결정하게 만드는 본보기를 보여준다. 그리스의 존망을 결정하게 만든 이 전쟁은 그리스를 아포리에 빠트리고 그것은 두 나라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세가지 아포리아를 이야기 하는 것은 아포리아가 무엇이고 아포리리아 왜 나타나는지를 설명하고자 함이었다. 그것은 키루스의 교육을 설명하기 위한 배경이다. 키루스 왕의 교육과 지도자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본보기이다. 페르시아의 위대한 왕인 키루스, 그는 지도자가 가져야할 자세와 교육의 방법, 다른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에 대한 것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주었고, 그것은 페르시아의 후손이라고 하는 이란의 자부심이 되었다.

 키루스의 교육은 한 나라의 자부심과 교육이 아닌 지금을 살아가는 아니, 앞으로 살아가야 할 우리에게 하나의 화두를 제시해 준다고 생각한다. 베풀고, 베풀어 사람의 마음을 얻고, 차별하지 않는 그의 모습은 아포리아에 빠진 우리의 모습을 풀어내가 위한 답안을 제시해 준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것을 챙기는 것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베품, 그리고 차별하지 않는 모습, 대의를 생각하는 키루스 왕의 모습은 지도자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배워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키루스의 교육이 왜 군주의 거울인지, 왜 그가 위대한 왕으로 칭송을 받는지를 깨닫게 해주는 고전으로서의 내 기억 속에 계속 회자 될것이라고 자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