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에 부르심을 받다 - 개신교 최초의 순교자 토마스 목사 순교 150주년 기념
스텔라 프라이스 지음, 정지영 옮김 / 코리아닷컴(Korea.com)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천주교 순교자에 대한 이야기는 역사를 배우면서 대부분 알게 된다. 특히, 병인박해를 통해 천주교 순교자와 프랑스 신부들이 살해당했고, 그로 인해 병인양요가 발생했다는 것이 역사의 주된 사실이다.

 그런데 개신교에 대한 부분은 문호가 개방되면서 교육 사업이나 의료사업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던 목사들에 대한 이야기만 들었지 최초의 순교자에 대한 이야기는 생소하게 들렸다.

 그랬기에 이 책의 제목과 소개는 새로운 시선과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 충분했다.

 과연, 개신교 최초의 순교자는 누구인지, 과연 그 사람은 어떤 사람이었기에 문호 개방 이전에 조선을 찾아왔고, 왜 순교자가 되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에 이 책을 펼칠수 있었다.

 처음 한국을 찾와왔던 그는 토마스 목사는 영국에서 태어나서 목회를 했던 분이었다. 그런 분이 어떻게 한국까지 왔을까? 지금도 그렇지만, 영국은 영국정교회라고 해서 다른 나라와 다른 종교적 형태를 뛴다. 그것은 영국이라는 역사와 문화 속에서 자리 잡은 것이기에 색다른 부분을 갖는다.

 그런데 그런 영국도 개신교 신자들은 그렇게 많지는 않았었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토마스 목사가 목회 활동을 할때 쯤 영국에서 개신교가 붐을 이루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 당시 해외 선교에 관심을 가지고 중국에 처음 선교를 했던 목사가 나타났고, 그런 여러 사건과 정황 속에 토마스 목사는 중국 선교에 관심을 가진다.

 토마스 목사는 결혼을 한 뒤, 반려자와 함게 중국으로 선교 활동을 떠나게 되고, 중국에서 쉽지 않은 선교 활동을 한다. 선교활동과 병행에 무역회사의 통역자로도 활동하면서 포교 활동을 펼치게 된다.

 해안가 부두에서 무역을 하는 곳에서 중국인들에게 한문으로 쓰여진 성경책을 배부함으로서 선교의 첫걸음을 시작했던 것이다. 우연히 무역장에서 조선인들을 접하게 되고, 조선이라는 곳으로 가서 선교활동을 하고자 하는 꿈을 꾸게 된다.

 그래서 중국 무역선을 타고 조선으로 향한다. 처음 접했던 곳이 백령도였다. 그러나. 배가 좌초되면서 조선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그의 꿈은 일시적으로 좌절된다.

 다시 중국으로 돌와갔던 토마스 목사는 미국의 상선 제너럴셔먼호를 타고 평양 대동강을 통해 조선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우리가 아는 역사 속에 제너럴셔먼호는 불타고 선원들은 살해당하면서 신미양요를 야기했었다.

 즉, 토마스 목사는 제너럴셔먼호가 불타고 공격을 받게 되고, 그는 대동강 물에 뛰어들고 뭍으로 걸어나오지만 조선의 병사에 의해 살해당한다.

 그가 창에 찔리기 전, 그는 그의 손에 들고 있던 성경을 자신을 찌른 병사에게 내민다.

 그 병사는 그 책이 무엇인지도 모르지만 받아들고 집으로 돌아온다. 그것이 아마 우리가 접했던 첫 선교자 토마스의 영혼이 깃든 성경이었을 것이다.

 그 후 신미양요가 발생하고 미국와 통상 수호 조약을 체결하면서 조선은 미국에게 문호를 개방한다. 그 이후 외국인 선교사가 공식적으로 들어오면서 조선에는 여러 교회와 학교가 들어서게 된다.

 최초의 조선의 개신교 순교자 토마스 목사,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면서 한국의 개신교의 발자취를 다시 한번 돌아볼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과연 토마스 목사는 왜 조선이라는 곳을 택했고, 그가 하고자 했던 일들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