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왕후
함영이 지음 / 말글빛냄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역사에서 피를 부른 여러 사건들이 존재하지만, 나에게 있어서 조카를 내치고 신하들을 죽이고 왕에 오른 계유정난의 주인공 세조는 나의 뇌리 속에 항상 기억되고 있다.

 얼마전 관상이라는 영화를 통해 세조가 정권을 잡은 이야기를 접하면서 세조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그런 조선의 역사에서 여인들의 모습을 접하기는 쉬운 것이 아니었다.

 특히, 숭유억불정책을 통해서 유교국가를 지향했기에 여인은 가정에 충실하고 내조에 충실한 것을 미덕으로 삼았기 때문일것이다.

 세조의 부인인 정희왕후, 조선 역사 속에서 처음 수렴청정을 했던 왕후, 그리고, 글을 몰랐던 여인으로 기억되는 정희왕후에 대해서 새로운 관점과 시선으로 이 책을 저술했다는 작가의 소개가 나의 마음을 사로 잡았다.

 정희왕후는 수양대군과 결혼을 하게 되고, 그 사이에 여러 아들을 두게 된다. 남자 못지 않은 판단력과 결단력은 세조가 권력을 잡는게 크게 일조를 하게 된다. 그리고 세조와 정희왕후는 다른 어떤 왕보다 돈독하였기에 세조는 후궁을 거의 두지 않은걸로 역사는 기록한다.

 그런 정희왕후는 아들들을 갑작스런 죽음으로 인해 수렴청정을 하게 된다. 조선의 역사에서 처음이다. 지금까지는 문정왕후의 수렴청정만이 부각되어 왔다. 그러나, 정희왕후의 수렴청정의 있었기에 문정왕후 역시 정희왕후를 본보기로 수렴청정을 할수가 있었다.

 세조의 죽음과 함께 한명회와 같은 공신들과의 권력 구도를 잘 읽고, 그들과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어린 왕의 보호막이 되어주었다. 수렴청정의 본 의도는 어린 왕이 왕으로서의 역할을 할때까지 왕의 뒤에서 왕을 보호하고, 정치를 제대로 할수 있게끔 도와주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렴청정은 그런 의도를 벗어나 외척 정치를 통해 새로운 권력을 만들어내고, 그와 함게 피를 부르는 역사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희왕후는 그런 역사가 아닌, 수렴청정의 본보기를 만들었다고 이야기 하고 싶다. 공신들과의 일정한 거리, 그리고 권력 구도를 읽어내는 탁월한 능력, 그런 여러 능력이 조선의 문화 성국이었던 성종의 역사를 만들어내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정희왕후가 모든 면에 있어서 잘했다는 것은 아니다. 여러 허물을 덮을만큼 수렴청정에 있어서 원칙과 거리를 두었기에 그런 평가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글을 모르지만, 사람을 중시하고, 형국을 읽어내는 탁월한 능력은 조선 오백년을 이루어낸 밑바탕이 되지 않았을 생각해본다. 남자들의 역사에서 뒤지지 않는 그녀의 역사, 새로운 관점을 판단하는 그런 시선이 반갑게 느껴지는 한 권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