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아이의 사춘기가 두렵다 - 십대 아이와 이대로 멀어질까 두려운 부모에게
조덕형 지음 / 경향BP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사춘기는 질풍노도의 시기라는 추상적인 말을 배웠던게 기억이 났다. 최근 우리 사회에 회자되고 있는 말 중에 하나다 중2병이다. 중학교 2학년이 되면 사춘기가 오고 반항을 하며, 사회적 이슈까지 될 정도이니 내가 겪었던 학창시절의 사춘기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이 책은 그런 중2병에 고민을 하는 엄마들의 고민을 해결해주는 책이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저자 역시 남매를 두고 있으며, 목사이자 상담선생님이다.

특히, 청소년, 중학생들을 만나 상담을 하면서 겪는 여러 이야기, 그리고 우리가 공감할수 있는 양육의 방법과 가이드를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세상이 바뀌고, 시간을 흘렀지만, 우리는 태어나서 한번쯤은 사춘기를 겪는다. 사춘기를 어떻게 이겨내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는 말을 한다. 지금의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식의 교육에 혈안이 되어 있다.

승리지상주의, 무조건 이겨야하고 남보다 뛰어나야 한다는 그런 생각이 지금의 중2병을 만들지 않았는가 생각해보게 된다. 특히, 부모가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사람일수록 자식에 대해 집착하는 성향을 지닌다고 한다. 자식을 하나의 인격체가 아닌, 자신의 소유물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 책속에 소개한 저자의 여러 이야기의 핵심은 공감과 함께 이해이다. 지금의 청소년들은 스마트폰과 SNS를 통해 자신들의 감정과 이야기를 쏟아 낸다. 그러기에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녀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것은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간에 대화가 얼마나 없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유대인들은 식사시간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일캐워줬다. 식사를 하면서 자녀들과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자녀를 이해하고 자녀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부모로서 캐치해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대화 속에서 자녀와 부모는 서로 공감을 하게 되고, 서로에 대해 끈끈한 유대감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저자 역시도 그런 유대감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다. 그런 유대감이 있는 가정은 무너지더라도 다시 일어날것이고,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녀는 자라면서 자신만의 영역과 공간을 가지고 싶어한다. 그런 자녀의 생각을 존중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권위적인 생각과 자세가 아닌, 친구와 같은 그런 존재가 되어주길 바란다. 친구가 됨으로서 어느 누구에게도 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부모에게 털어놓을수 있고, 그런 부모는 자녀에게 큰 버팀목이 되어줌으로서 자녀는 무슨 일을 하더라도 힘을 받을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는 여러 다양한 이야기와 함께 부모들이 알지 못했던 이야기가 많이 있지만, 결론은 서로에게 한발짝 더 나아가고, 서로를 공감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줄때 자녀와 부모의 끈끈함은 오래동안 지속 될것이는 것이다.

이 책속에서 말하는 중2병, 사춘기, 그것은 자녀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이자, 우리들의 문제일것이다.

자녀가 두렵다는 것은 자녀를 너무 모른다는 것이다. 사춘기는 두려운게 아니라, 누구나 한번쯤은 겪고 넘어가야할 바람과 같은 것이다.

자녀의 사춘기 때문에 고민하는 부모라면 이 책을 통해 사춘기를 지혜롭게 넘어가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