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녀와 그, 영원히 넘을 수 없는
감성현 지음 / 쌤앤파커스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남자가 여자가 만나서 사랑을 하면 그들은 연애를 시작한다. 연애의 사직이 사랑이라고 하지만, 사랑의 끝은 이별인것일까?

 남자와 여자는 태생부터 다른 존재라고 한다. 과연 남자와 여자는 이별에 있어서 어떤 자세를 취하는지 많이 궁금했다. 그것은 이별의 공식이 존재하기 때문일것이라고 생각해본다.

 이 책은 그와 그녀의 사랑과 다툼에 대한 짧은 기록이라고 소개 한다. 그와 그녀의 이야기를 여러 사진과 함께 우리에게 보여주는 형식으로 이 책은 구성되어있다. 여러 사진이 많이 첨부되어있기에 그녀와 그의 이야기가 더 애절하게 들리는건 아마도 사랑과 이별이 이 책 속에 존재하기 때문일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그와 그녀의 만남으로 시작한다. 사랑의 시작은 모든 사람이 똑같지 않다. 그러기에 사랑은 언제 어디서든 나타날지 모른다. 그와 그녀의 만남을 시작으로 사랑을 하게 되고, 그러면서 서로에 대해서 알아간다. 그러면서 그들은 싸운기도 하고, 서로를 이해하기도 하고, 그러지만, 한계시점은 도달하는것 같다. 그래서 연애가 어려운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 책 속에서 그와 그녀가 말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연애를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공감하는 이야기들이다. 특히, 배경으로 사진들이 존재하기에 그와 그녀의 이야기가 더욱 애절하게 느껴진다.

 이 책 제목인 벽...벽이라는 것은 남자와 여자가 연애를 하면서 한계점이 도달하면 느끼게 된다. 그것은 사랑이라는 미명하에 우리가 애써 무시 했던 이미 존재했던 것인데, 사랑에서 깨어나면서 보이지 않았던 벽을 피부로 느끼기 때문일것이다.

 그 벽의 높이와 두께는 그와 그녀가 만든 것이다. 어느 누구도 관여하지 않았고, 관여할수도 없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것은 그녀는 이해는 하지만, 용서하지는 못한다고 한다. 그것은 사랑했었기 때문일것이다. 이제는 다시 만나지 못할지 모르기에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쉬운 이별, 쉬운 연애, 그런것은 당사자인 그와 그녀가 평가하는 것이다. 누구도 그와 그녀의 사랑을 평가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이 책이 사랑과 이별을 다룬 어떤 책보다 더 피부에 와 닿았던 것은 사랑과 이별에 대해 막연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와 그녀가 각자의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구성되었기에 색다른 구성과 함께 색다른 시각으로 사랑을 바라 볼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인 벽은 그와 그녀가 너무 밀착되었기에 그 존재를 알게 된다는 것이다. 그의 말 처럼 벽에서 멀어지고 나니 진정한 그녀의 모습이 보였다는 것이다. 아마도 사랑을 하면서 나무만 바라보고 숲을 보지 못했던 우를 범했기 때문일것이다.

 나 역시 다시 사랑을 하게 되면 그와 같은 벽을 만날것이다. 그 벽을 뛰어넘기보다 한 걸음 물러서 그 벽 넘어에 있는 그녀를 바라 볼것이다. 그래야 그녀의 진정한 모습과 사랑을 알게 될것이다.

 사랑에 힘겨워하는 그와 그녀라면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고민을 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