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어쩌면 그렇게 - 나의 친구, 나의 투정꾼, 한 번도 스스로를 위해 면류관을 쓰지 않은 나의 엄마에게
이충걸 지음 / 예담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라는 말만 들어도 가슴이 뭉클해지는것은 엄마라는 단어에서 느끼는 무엇인가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 세상의 존재감을 제일 먼저 알려주었고, 엄마로부터 배운 것들이 너무 많기게 그리고, 그 사랑이 얼마나 큰지를 알기에 엄마라는 말은 가슴 깊이 다가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이 책은 엄마랑 토닥토닥하면서 일상을 같이 살아가는 저자가 엄마와의 이야기를 옴니버스식으로 해서 하나하나 수록해 놓았다. 이제는 나이가 들어서 오르막길을 올라다니기도 힘든 엄마, 그런 엄마가 얼마나 아픈지를 엄마의 수술로 알게되고, 그런 엄마의 마음을 조금씩 알아가는 아들의 모습이 우리가 일상에서 겪음직한 이야기로 인해 낯설지 않게 다가오지 않나 생각해본다.

 엄마의 사랑을 알지만, 같이 생활을 하고 있기에 토닥토닥거리고, 가끔은 상처도 받고, 그렇지만 시간이 조금 흐르면 왜 그랬는지, 그리고, 엄마의 마음이 어땠는지를 아는건, 저자도 똑같은 것 같다.

 엄마는 항상 그 자리에 그대로 있을줄 알았었다. 그런데, 그건 나만의 착각이 아니였던것 같다. 내가 나이가 먹고, 어른이 되면서 엄마는 처녀에서 엄마로, 엄마에서 할머니로 바뀌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난 그런 엄마의 모습 속에서 세월의 흐름을 알게 되었고, 그런 엄마로 인해 마음 한 구석이 아파오는건 나 역시도 좋은 아들은 아니였던것 같다. 이 책에서 저자 역시 엄마를 사랑하고, 엄마를 아껴드리려 하지만, 서로의 삶의 방식과 생각의 차이로 오해와 상처를 서로 주고 받는것 같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 돌아보면 항상 내 곁에는 엄마가 있었다는것을 느낀다. 세상을 살아가는 아들, 딸들에게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음식이 뭐냐고 물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엄마가 해주는 밥이라고 한다. 밥이라고 하면 추상적이지만, 엄마가 해줬던 된장찌개, 김치찌개와 같은 일상에서 항상 먹어왔던 음슥이 아닐까 생각한다. 친구들의 집을 가게되면 각 친구 집마다 엄마표 음식이 있는 것같다. 엄마표 음식 속에서 자식들은 성장하고, 사랑을 느끼게 되는것 같다. 그래서, 어른이 되어서도 엄마의 음식이 그리운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엄마와 아들이 일상에서 겪은 이야기들을 수록하고, 그런 일상 속에서 느끼는 아들의 시선으로 엄마를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다. 누군가 그런말을 한것 같다. 엄마에게는 딸이 있어야 한다고, 그건 아마도 아들이 바라보는 엄마와 딸이 바라보는 엄마의 느낌이 다르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아들은 아무리 해도 엄마가 될지 없지만, 딸은 어느덧 성장해서 결혼과 출산을 통해서 엄마가 되면서 엄마의 삶을 하나둘씩 마음속까지 알게되는것 같다.

 이 책의 일상처럼 나 역시도 엄마와 손 잡고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눠야겠다. 이 책을 통해서 엄마의 사랑을 다시한번 더 생각해보는 계기가 된것 같아, 마음이 따뜻해지는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