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콴유와의 대화 - 마키아벨리 군주론에 입각한 강력한 리더십의 정체를 묻다 ㅣ 아시아의 거인들 1
리콴유 & 톰 플레이트 지음, 박세연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싱가폴이라는 도시 아니, 국가를 생각하면 작지만 강한 나라, 깨끗한 도시가 먼저 떠오른다. 그런 이미지와는 달리 아직 태형이 존재해서 가끔 외교분쟁을 일으키는 나라, 그렇지만, 국민 일인당 소득이 5만달러를 넘는 정말 아이러니한 나라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 싱가폴이 어떻게 그런 국가로 변모했는지, 정말 궁금했었다. 아시아의 다섯마리 용이었는데 그 중에서 진정한 용으로 되버린 나라, 우리나라 국민소득의 2배 이상되버린, 그리고, 아시아의 금융허브로서 뛰어난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나라, 그런 나라의 지도자였던 리콴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싶었다.
이 책은 미국인 기자와 이미 퇴임한 리콴유 총리가 대화형식으로 이야기를 나눈 것을 수록했다고 볼수 있다. 리콴유 총리는 싱가폴이 말레이시아의 도시 국가였다가, 분리되면서 어려운 싱가폴을 수습하고, 진정한 나라로서 인정 받게 만든 지도자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리콴유의 독특한 지도력은 어느 나라의 지도자와는 비교하기 힘들다. 리콴유의 오랜 통치력과 집권여당의 지지도는 어느 나라의 어떤 정당과는 비교되기 힘든 지지도였다. 그리고, 보통의 국가들은 미국이라는 거대 나라와 인정 받기 위해 아니면 보여주기 위한 행동을 했으나, 리콴유 총리는 그런거에 신경쓰지 않았다. 이 책의 저자가 리콴유 총리에게 질문을 했을때 리콴유 총리는 말한다. 미국의 지지도가 아니라, 싱가폴 국민들의 입장에서 그리고, 싱가폴의 국민들을 위한 통치방법과 싱가폴의 국민의 지지도만 있으면 어느나라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고 총리는 생각했다고 한다. 지금의 싱가폴은 리콴유 총리의 아들이 총리로 있다. 싱가폴의 구체적인 상활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독재 아니냐고, 어떻게 아들에게 물려줄수 있냐고 하지만, 지금의 총리가 되기 전까지 고촉통이라는 총리가 존재했다. 리콴유 총리가 퇴임하고 고촉통이 14년 동안 총리를 맡을 동안 리콴유의 아들은 장관으로서 그리고, 싱가폴의 다른 리더처럼 자신의 경력과 국민을 위한 여러 과정들을 경험하고 노력을 했다. 고촉통 총리가 지도력을 발휘하는 부분을 지금의 총리도 간접경험을 함으로서 지금의 자리에 오르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한 나라의 지도자가 아주 오랫동안 한 나라를 다스렸다는 것은 국민들의 지지도가 어땠을지가 궁금하다. 특히, 싱가폴은 다른 어떤 나라와는 달리 다른 국가의 구조와 지도자들의 지도력은 지금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궁금증을 자아냈었다.
그런 궁금증을 이 책은 어느정도 해결해주지 않는가 생각한다. 기자였던 저자가 총리와의 진솔한 대화 속에서 지금까지 내가 궁금해왔던 부분들은 하나둘씩 풀어주는 것을 보면서 리콴유 총리의 지도력과 인간적인 매력에 빠져들수가 있었다. 고령이라는 나이와 좋지 않은 건강에도 불구하고, 기자와의 대화 속에서 배려와 기품을 제대로 느낄수가 있었다.
이 책이 리콴유 총리의 모든 면을 다 보여주지는 못하겠지만, 리콴유 총리의 진솔한 모습을 제대로 느낄수가 있는 계기가 될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