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와 破字 - 깨뜨리고 합쳐서 보는 흥미로운 한자의 문자유희
홍순래 지음 / 어문학사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을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

 

 

전 세계적으로 동북아시아 3국은 한자문화권이라고 한다. 중국, 일본, 한국은 한자를 사용하긴 하지만 각 나라마다 한자를 사용하는 방법은 서로가 다르다. 그러나, 한자의 뜻은 서로 통하기 때문에 어느나라를 가던지 한자를 보고 뜻을 어느정도 이해할수 있는건 아마도 같은 한자 문화권이기 때문일것이다.

한국은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한자교육이 소홀히 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한자의 중요성을 알게되면서 한자능력시험이 생겨나고 한자를 따로 가르치는 학원이 생기고 있다.

한자는 기본 한자를 얼마나 아느냐에 따라서 한자 실력이 결정되는거 같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 선조들은 처음 공부를 가르칠때 천자문을 외우도록 하였다. 이 책은 어렵게만 느끼는 한자를 깨뜨리고 합쳐서 보는 파자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다. 파자는 한자를 하나하나 깨서 한자를 새롭게 이해하는 방법이다. 역사를 보게되면 한자를 어떻게 파자해서 이해하느냐에 따라서 전쟁이 나거나 아니면 헤프닝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었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상형문자이다. 사물의 모양을 보고 한자를 만들었기 때문에 한자의 모양을 보면 어떤 모양을 본따서 만들었는지를 추측할수 있다. 파자도 마찬가지다. 파자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자의 부수와 함께 기본한자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그러나, 뜻 풀이에 앞서 한자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것이다.

이 책은 특히 파자의 기초부터 활용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다 포괄해서 다루어주고 있다. 파자에 대해 기초상식이 없는 사람도 이 책을 통해 파자에 대해서 자세히 알수 있다. 특히, 우리의 역사와 일상속에 남아 있는 파자에 대해 에피소드를 통해 파자가 얼마나 우리 일상속에 파고 들어있는지를 이 책을 통해 알수 있다. 특히, 파자의 활용 파트를 통해서 일상속에서의 파자의 활용과 우리 문학작품 속에 남아있는 파자의 활용을 다루고 있다.

특히, 판소리와 탈춤에는 양반를 비판하기 위해 파자가 이용되었다. 똑같은 한자라도 판소리와 탈춤에는 해학적인 방법으로 지배계층을 비꼬는걸 보면 우리의 조상들이 한자를 얼마나 잘 이용했는지를 알수가 있다.

이 책을 접하기전에는 파자에 대해서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이 책을 통해서 파자의 기초부터 활용까지 자세히 알수가 있었다. 지금은 영어가 대세라고 이야기하지만, 동북아에서 아니 한국에서 살기 위해서는 한자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할것이다. 이 책이 한자의 모든것을 알려줄수는 없겠지만, 파자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 할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한자가 어렵다고 피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하나하나 알아가는것도 괜찮은 방법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