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휴와 침묵의 제국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는 승자의 몫이다라는 말이 있다. 그건 아마도 역사가 승리자에 의해서 쓰여졌기 때문일것이다. 패배자나 아니면 미완의 성공자 역시 역사에서 배제되거나 아니면 역사의 그늘속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았을 것이다. 이 책의 주인공인 윤휴 역시 그렇다고 생각한다. 시대를 앞서가거나 아니면 시대의 흐름을 거르는 사상과 행동을 하게 되면 세상은 그를 손가락질 하거나 아니면 그를 무너트리기 위해 세상을 하나의 힘으로 뭉쳐버리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이 책의 제목인 윤휴와 침묵의 제국 역시 그런 맥락과 일맥상통하지 않나 생각해본다. 침묵의 제국?? 아마도 윤휴라는 인물에 대한 행동과 사상에 대해서 조선은 침묵했었다. 즉, 그의 사상과 행동은 세상을 이끌어나가기에는 충분했지만 그런 사상과 행동은 기득권층, 즉 보수지배층은 그걸 용납할수가 없었던 것이다.

윤휴는 조선의 양반계층이다. 그러나 그는 일반 보수층과는 달리 초야에서 학문과 사상을 닦고 정계와는 거리를 둔 사람이었다. 다른 어떤 학자와는 달리 혼자서 공부하고 혼자서 깨달아서 하나의 학문과 가치관을 만든 사람이다. 그러했기에 학맥도 없었고, 인맥도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해서 윤휴의 가문이 양반이 아니지는 않았다. 그 역시도 양반이었다. 조선은 중기에 들어서면서 붕당이라는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초기에는 동인과 서인으로 나누어지고 나중에는 남인, 북인으로 그리고 나중에는 노론 소론으로 나누어지면서 자신들의 이익과 이론을 추구하면서 대립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초기에 붕당은 서로 견제와 균형을 통해 왕권도 견제하면서 백성들을 생각했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붕당은 자신들의 이익과 생각만을 앞세우기 시작했다. 그래서 나온것이 사화이다. 하나의 사건을 계기로 반대파를 없애고 하나의 붕당만을 앞세우기 시작했던 것이다. 윤휴는 그런 시절을 살았다. 그래서 그는 초야에 묻혀서 정계와는 거리를 둔것이다. 그는 시대를 앞서갔고, 시대의 흐름을 읽을줄 아는 사람이었다. 그는 북벌론을 제기했다. 명-청교체기의 혼란스런 틈을 타 예전의 우리 국토를 회복하자는 북벌론, 그는 효종과 함께 북벌을 하려했지만, 효종의 의문사를 통해 북벌론을 흐지부지 되었다. 그와 함께 그 역시 중앙정계와는 멀어졌다. 그리고 반대파의 모함으로 통해 그는 생를 마감하였다.

그런 그가 지금의 우리에게 남긴건 무엇일까? 시대를 읽었고, 시대의 흐름을 알았고, 백성들을 생각해서 여러 제도를 만들려고 했으나, 기득권층의 반발로 인해 이루진것은 없었다. 침묵의 제국인 조선이 과연 그에게 해준것은 무엇인가? 그의 생각이 다 옳은것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생각이 왕의 입장에서는 부담아닌 부담으로 작용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백성을 생각하고 시대의 흐름을 읽을줄 아는 왕이었다면, 그의 생각을 따라주는것도 나쁘지 않았을것이라고 생각한다.

침묵의 제국, 조선은 왜 윤휴를 죽여야만 했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하나의 화두로 나에게 남아 큰 여운을 안겨주는 책으로 기억될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