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4 - 중국의 정화 대함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불을 지피다
개빈 멘지스 지음, 박수철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역사를 뒤돌아보면 항상 서양이 동양보다 앞섰다고 어리석은 사람들은 이야기한다..그건 역사를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의 헛소리 같은 이야기이다..
 특히 중국은 우리에게 있어서 항상 큰 나라요..우리나라보다 발달된 나라이며 우리가 배워야 하는 나라로 인식되어왔다. 그리고 중국을 통해서 문화를 전수 받고 문물을 전수 받을수 밖에 없는 현실이었다.
특히, 명나라 청나라 시대 중국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를 주름잡는 무역대국이자, 강대국으로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그리고 중국의 힘을 알리기 위해 대외무역을 시작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명나라 시대의 정화의 원정이다..
정화는 지금의 시대로 치면 해군 제독이다.. 왕인 영락제의 명을 받고 대외원정을 떠난다. 말이 대외원정이지, 지금으로 치면 친선외교와 문화교류를 포함한 전방위적인 원정이었던 것이다.
이 책은 중국 정화의 원정이 어떻게 유럽의 르네상스에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된다. 지금으로 부터 600년전에 과연 어떻게 중국에서 그토록 먼 유럽 이탈리아에까지 갈수 있었으며, 어떤 문화적 경제적 영향을 끼쳤기에 그런 이야기를 하는건지..이 책을 통해 하나 하나 알아 갈수가 있었다.
중국은 1400년대에 다른 어느나라 보다  뛰어난 조선술을 통해 거친파도에서 이겨낼수 있으며 많은 짐을 실을수 있는 정크선을 개발하였다. 정크선의 개발은 육로를 통한 무역을 해로를 통한 무역으로 바꿀수 있었다. 육로에 비해 해로는 이동시간을 줄여줄수 있었기 때문에 노동력과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런 대내적인 힘과 대외적인 개척 욕구는 해외원정을 단행하게 된다.
특히 정화의 원정은 역사에 커다란 획을 그을 정도로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은 그런 관점에서 쓰여진거 같다.
정화의 원정을 역추적하면서 중국이 가지고 있던 선진문물을 유럽에 전해줌으로서 유럽은 르네상스 뿐만 아니라 콜롬버스의 신대륙 발견과 같은 역사에 남을 사건들을 맞이하게 될수 있다고 이 책은 이야기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역사는 하나의 사건, 즉 기폭제를 통해 발전을 하거나 아니면 퇴보한다.
정화의 원정은 동양 뿐만 아니라 서양에 커다란 기폭제였다.
이 책을 구성한 사람들은 고증되고 검증된 역사의 사실들의 바탕위에 추리와 추측을 통해 지나간 과거인 역사를 생생한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