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일본의 알몸을 훔쳐보다 1.2 세트 - 전2권
시미즈 이사오 지음, 한일비교문화연구센터 옮김 / 어문학사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일본의 근대화는 메이지유신을 통해서 시작되었다고 볼수 있다..

메이지유신??? 우리에게는 아이러니하게도 듣기 별루 좋지 않은 말이다..왜냐?? 메이지유신을 통해 근대화를 이루면서..

우리에게 강화도조약이라는 굴욕을 안겨줬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일본은 섬나라는 특성때문인지 몰라도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해서 배타적이기보다는 쉽게 받아들였다..

특히 일본의 대표적인 항구도시들을 보면 서양의 다른 문화와 어우려져 독특한 형식의 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나가사키나 오사카..이런 곳에는 독특한 형식의 문화때문인지 음식등 여러곳에서 독특함을 풍기고 있다..

메이지 일본의 알몸의 훔쳐보다 역시 이러한 일본의 독특한 문화를 프랑스 풍자화가 조르주 비고가 그림으로 일본의 문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일러스트형식의 만화를 통해서 일본의 생활상을 편하게 알수 있었다.

그리고 작가의 주석을 통해서 그림의 내용과 섬세한 상황 설명을 이해할수 있다.

이 책의 만화를 보면 사회 한쪽으로만 치우져져 있는게 아니라 사회하층민인 유곽의 기녀부터 시작해서 고위 관리까지 모든 사회인물과 일상의 면모들을 만화로서 압축해서 보여주고 있다.

과연 서양인의 눈에 비친 일본인의 모습은 어떠한지를 그는 만화로서 묘사함으로서 어떻게 보면 더 생동감있고 더 사실감이 있는 묘사를 하는것 같다.

우리나도 그랬지만 근대화라는 것은 옛모습과 새로운 모습이 공존하는데 이 책에서 보여주는 일본의 근대화 모습 역시 비슷하게 보여지고 있다. 즉, 옷은 일본의 기모노를 입고 있으면서 신발은 구두를 신거나, 아니면 기모노를 입고 모자를 쓰고 있는 모습이다..서양 문물과 전통의 조화가 아직은 부조화스러운 모습인것이다.

만화를 보여줌으로서 독자가 상상할수 있는 여지를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우리가 쉽게 접하기 어려운 유곽...즉 몸파는 여자들의 생활상..그리고 쉽게 드러나지 않는 곳을 직접 아니 어떻게 몰래 접근해서 상세히 묘사 할수 있었는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처럼 문화가 발달해서 카메라로 보여줬다면 독자들은 쉽게 공감할수는 있겠지만...만화보다는 상상의 여지를 더 가지지는 못할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의 일본이 선진국으로 도약할수 있었던건...아마도 메이지유신이라는 근대화를 통해서지만...우리가 배울점은 다른 문화를 배척했던 우리의 근대화와는 달리 배울건 배우고 버릴건 버렸던 그들의 자세 아니였을가라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