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 - 용기 있게 나를 마주하는 글쓰기 수업
김소민 지음 / 스테이블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사는 게 창피하다>를 읽고 김소민 작가를 좋아하게 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깨달았다. ‘아, 이래서 내가 이 작가님을 좋아했지.’ 작가님 특유의 예리한 통찰력과 통쾌한 유머가 이 책에도 점점이 뿌려져 있었다.
작법서인데 왜 감정이 살랑살랑 건드려지는지. 주먹을 불끈 쥐며 분노하기도 하고 눈물이 핑 돌았다가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글쓰기는 내 로망이기도, 목구멍에 콱 박힌 골프공이기도 하다. 쓰고 싶지만 어렵다. 누군가가 내 글을 읽는다고 생각하면 더 그렇다. 이 책을 읽고, 내 이야기를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생각만 하지 말고, 미리 평가를 걱정하지 말고 솔직하게.
구체적인 예시와 학인들의 글도 내 글을 쓰겠다고 마음을 먹는 데에 도움이 됐다. 물론 내 글은 그들의 글에 한참 못 미치지만 내 이야기는 나만 쓸 수 있으니까 말이다.
그러고 보니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내가 수강했던 작가님의 과목명은 ‘내 이야기 하나쯤’이었다.
쓰고 싶지만, 자신의 글에 확신이 없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당신은 쓸 자격이 있다고, 지금이 바로 쓸 때라고 커다란 응원을 건네주는 책이다.

결핍이 없는 인간은 재수 없다. 망할수록 쓸 수 있다. 쓰는 한, 누구도 나를 망하게 할 수 없고, 누구도 의미 없는 아픔을 줄 수 없다. pp.21~22

일이 아니고서야 웬만해서는 글을 쓰지 않는 나도 절망에 빠지면 쓴다. 어쩌면 내 무의식이 나를 살리려고 시키는지도 모르겠다. 글로 쓰면 슬픔도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볼 수 있다. 대체 나에게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왜 벌어졌는지, 다른 사람들은 이런 슬픔을 어떻게 견디는지 알아가다 보면, 슬프지 않아지는 건 아니지만 압도당하지는 않을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나에 대해 좀 더 알게 됐다. 뭘 알게 됐는지는 아직 맨정신으로 말하지 못하겠다. p. 33

권력은 보이는 자가 아니라 보는 자가 갖는다. 이상하게 기분 나쁜 칭찬이 있지 않나. 친구 사이에도 마치 선생님이 “참 잘했어요” 도장 찍어주듯 칭찬하는 말을 들으면 기분이 상한다.
‘뭔데 평가질이야.’
이 관계가 평등하지 않다는 걸 느끼기 때문이다. 글을 쓰는 건 보는 자가 되는 일이다. pp. 37~38

#김소민 #김소민작가 #스테이블
#용기있게나를마주하는글쓰기수업
#작법서 #글쓰기책 #책추천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