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한국사 - 나의 관점에서 시작하는 역사 공부 사계절 1318 교양문고
심용환 지음 / 사계절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절한한국사

국가대표 역사 선생님의 친절한 한국사 수업.
역사 속 인물과 사건을 무조건 외우는 게 아니라 나의 관점에서 상상하고 이해하고 정리하도록 도와준다. 교과서에 적혀 있던 납작한 역사가 입체적이고 생생하게 변신한다.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가 백성들을 위해서 또는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신분제를 더 강화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였다는 해석이 인상적이다. 그 증거로 제시한 예시들도 흥미진진하다.

세종이 신분제를 해체하려고 했을까요? 아닙니다. 오히려 신분제를 강화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단적인 예가 왕이 된 지 두 해 만에 실시한 ‘부민 고소 금지법’입니다. 세종은 하급 관리와 일반 백성이 상급 관리를 고소하던 관행을 금지했습니다. 계급 질서를 굳게 다지려고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잘못을 따지지 못하게 만든 것입니다. 만약 이를 어기고 백성이 관리를 고발하면 고발한 백성을 곤장으로 다스리라고 명령했습니다. 많은 관료가 이 법의 시행을 반대했지만, 세종은 끝내 고집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p.16

입시 결과에 따라 울고 웃는 건 비단 지금의 일만이 아니다. 조선 후기 영조 때 여든이 넘은 나이에 과거에 합격한 이들이 있었다는 난감한(?) 기록을 보면 과거 급제만이 출세의 유일한 수단이었던 탓에 평생을 과거 공부에 매달렸을 고단한 인생이 안쓰럽기도 했다. 입시 부정이 종식되지 않는 이유도 한편으로는 이해가 되는 지점이다.

문제가 반복되는 이유를 찾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역사적 경험을 들여다보면 됩니다. 또한 입시 결과가 누군가에게는 일생의 자부심이 되고, 다른 누군가에게는 평생의 상처로 남는 일이 계속된다면 조선 후기보다 더한 디스토피아가 올지 모른다고 경각심을 느끼면 됩니다.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에겐 역사 공부가 필요합니다. p. 130

공간의 역사를 다룬 ‘너희가 서울을 알아?“도 재미있게 읽었다. ‘현재의 철도 교통이 일제 강점기라는 역사적 연원과 깊이 관련 있다는 점, 근본 구조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뼈아픈 사실을 읽으며 ’공간의 역사를 추적하는 것만큼 좋은 역사 공부는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선생님이나 책을 무조건 신봉하기보다 자기만의 타당한 해석이 중요하다고 한 점이다.

역사적 사실을 찾는 학문적 노력은 역사학자의 몫이지만 수많은 역사 이야기 속에서 상상을 하고 현재의 문제를 비추어 보고 미래를 설계하는 과정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그러니 대충 생각하지 말고, 꼼꼼히 의심하고 되물어 보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p.47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사계절출판사 #교사서평단 #역사 #한국사 #역사공부 #심용환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