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별은 어떻게 내가 되었을까 - 지구, 인간, 문명을 탄생시킨 경이로운 운석의 세계
그레그 브레네카 지음, 이충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 별은 어떻게 내가 되었을까
그레그 브레네카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지구, 인간, 문명을 탄생시킨 경이로운 운석의 세계
*인류학과 천문학의 환상적 만남

우리를 인간답게 만들어온 긴 여정의 뿌리에
45억 년 전의 우주가 있다

45억 년 전 우주로 거슬러 올라가 우리 존재에 대한
깊고 근원적인 이해로 안내하는 이 책은,
지구에 머무는 우리의 짧은 시간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줄 것이다.

---------------------------------------------

운석에 대한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

지금까지 알고 있던 운석에 대한건
소행성이 충돌해서 공룡이 멸종되었다는것과

얼마전 티비 프로그램에서 본
우연히 운석이 떨어진 개집이 아주 비싸게 팔렸다는 것

운석에 대해서 아는 정보가 많이 없었던만큼
책을 읽으며 운석의 정체를 조금씩 밝혀내듯
흥미롭게 이야기를 읽어나갔다


1장. 초기의 중요한 운석 충돌 사건
2장. 초기 인류를 위한 우주 극장
3장. 인간과 하늘의 충돌
4장. 예언, 공포, 과학의 발전
5장. 성공의 요소
6장. 화성에서 온 공짜 표본
7장. 우주 공간에서 실험실로
8장. 운석이 초래하는 피해와 완화 전략
9장. 오늘날의 운석 연구

이 책은 이렇게 9장으로 나누어
우리에게 운석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부록에는 운석 연구의 기초부터
운석을 어떻게 분류하고 장비가 어떻게 발전되었는지도 나온다

운석은 생애 중 어느 단계인지에 따라 이름이 제각각 다르다

태양 주위의 궤도를 돌 때에는 소행성이라 부르고,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와 밝게 빛나며 하늘을 가로지를땐
유성 또는 별똥별이라 부르고,
땅에 떨어졌을 때에는 운석이라고 부른다

과거엔 운석이 떨어지면
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믿어
먹기도 했다고 하는점이 기억에 남는다

건강해지려고 먹은 운석이 오히려 많이 먹을 경우
건강에 해가될 수 있다는점은 아이러니하게 느껴진다

또 절대적인 권위를 누리던 지성인 아리스토텔레스로 인해
운석에 대해 제대로 연구를 하지 못했다는 점도
참 안타까운 일이다

그렇지만 그런 상황속에서도
의문을 가지고 꾸준히 연구했던 사람들이 있었기에
잘못된 개념들이 바로잡히고

운석을 통해 우주의 비밀을 풀어나갈 수 있게 되었다

1980년대 과학자들이 거대 암석으로 인해
공룡이 멸종했다는 사실을 밝힌 뒤부터
사람들은 우리 종도 멸종하는건 아닐까 염려하기 시작했다

딥 임팩트나 아마겟돈 같은 영화를 보며
진짜 저런일이 생긴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어린시절에 고민하기도 했는데

과학자들이 점진적 방법과 돌발적 방법으로
열심히 연구하고 있으니 조금은 안심해도 될 것 같다

*p336
운석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기원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생명체가 거주할 수 있는 행성에서 진화한 우리의 기원, 그리고 현대 문화를 이루어 인간으로 살아가는 우리의 기원을 탐구하는 것이다. 운석은 우리가 인간성을 발전시키기까지 걸어온 여행에서,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여기까지 이르게 되었는지 이해하는 여행에서 지대한 역할을 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진정한 인간성을 찾기 위한 계획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우주의 비밀에 대해 더 알고싶은 사람들에게
운석을 통해 흥미롭게 전해주는 이야기들이 들어있는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