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 바르트는 "천사들이 하나님을 찬양할 때는 바흐를 연주하지만, 자기들을 위해서는 모차르트를 연주할 것이다. 사랑하는 하나님께서도 무척 즐거워하면서 그들의 연주에 귀 기울이실 것"이라고 말했다. 바르트에게 모차르트는 ‘천국에 가서도 가장 먼저 찾아뵐’ 존재였다. 심지어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루터와 칼뱅보다도 모차르트를 먼저 찾아뵙겠다고 했으니 신학자로는 불경을 무릅쓴 극찬이었다.

둘 이상의 독립적인 선율이 결합된 바로크 음악은 건축물처럼 탄탄한 구조를 갖추고 있어서 복합적 사고에도 효과가 크다. 반대로 대립과 갈등, 화해와 해결의 과정을 통해서 감정적 진폭을 키우고 싶다면 베토벤의 교향악이 제격이다. 서정적인 감수성에는 쇼팽의 피아노 음악이 어울릴 것이다.
아이들에게는 클래식 음악만 들려주어야 할까? 그렇지만도 않다. 자유롭고 변칙적으로 약동하는 리듬감을 통해 창조력과 상상력을 키우고 싶다면 재즈가 효과적이고, 차분한 정서 함양에는 우리 전통 음악이 안성맞춤일 것이다. 반대로 로큰롤은 비교적 단순하고 공격적이지만 활력을 불어넣는 것도 사실이다. 반드시 음악만 육아와 교육에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미술과 건축, 패션과 무용, 문학과 영상까지 온 세상은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건강한 자극으로 가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하고 듣는 사람 사이에서는 예의가 중요하다. 읽고 쓰는 사람 사이에서는 윤리가 중요하다.
예의와 윤리는 다르다. 예의는 맥락에 좌우된다. 윤리는 보편성과 일관성을 지향한다. 나에게 옳은 것이 너에게도 옳은 것이어야 하며, 그때 옳았던 것은 지금도 옳아야 한다. 그러나 나에게 괜찮은 것이 너에게는 무례할 수도 있고, 한 장소에서는 문제없는 일이 다른 시공간에서는 모욕이 될 수도 있다.
암으로 고통받는 환자나 그 가족 앞에서 ‘암 걸리겠네’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무신경하거나, 무례하다. 그러나 그것을 비윤리적이라고 여겨 언제 어떤 상황에서도, 예컨대 인터넷 공간의 모든 사람에게, 앞에 없고 그가 모르는 암환자 가족이 볼 수 있다는 이유로 ‘암 걸리겠네’라는 표현을 쓰지 말라고 요구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돌겠네, 미치겠네, 죽겠네’라는 표현은 어째서 허용하는가? 신경 질환으로 고통받는 사람과 그 가족, 최근에 사랑하는 이를 잃은 유족들의 상처는 왜 살피지 않는가?
예의는 감성의 영역이며, 우리는 무례한 인간이 되지 않기 위해 감수성을 키워야 한다. 윤리는 이성의 영역이며, 우리는 비윤리적인 인간이 되지 않기 위해 비판 의식을 키워야 한다. 전자도 쉽지 않지만 후자는 매우 어렵다. 직관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윤리에 대해서는 보편 규칙을 기대해볼 수 있으며, 온갖 암초 같은 딜레마를 넘어 우리가 어떤 법칙을 발견하거나 발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예의는 끝까지 그런 법칙과는 관련이 없는, 문화와 주관의 영역에 속해 있을 것이다.


어떤 종이책 애호가들은 독자가 전자책을 읽을 때에는 종이책을 읽을 때와 달리 텍스트에 집중하지 못하고 건성으로 글자를 넘기게 된다고 주장한다. 전자책과 종이책을 읽을 때 뇌에서 활성화되는 부분 자체가 다르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나는 그들이 전자책과 웹문서를 혼동하고 있다고 본다.
전자책은 웹문서와 다르다. 그리고 둘의 큰 차이점 중 하나가 하이퍼링크가 있느냐 없느냐다. 전자책은 시작과 끝이 있는 단행본이며, 모든 문장과 문단에 맥락이 있다. 전자책을 볼 때 우리는 저자가 정한 순서에 따라 그 글줄을 차례로 받아들이고 다음 문장, 다음 문단으로 나아간다. 그것은 독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영복 선생님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으며 크게 감명받은 문구가 있습니다. 사람에 대한 평가는 관계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이었어요. 어떤 사람과 관계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사람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이야기하면 안 된다는 거예요. 그게 무슨 말인지 그날 깨달았습니다. 역사를 공부할수록 그때의 경험이 더 생생해집니다. 어떤 사람을 그 사람의 일부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되는 것이더라고요. 그의 인생 전체를 봐야 하는 거죠.

역사는 흔한 오해와 달리 고리타분하거나 미련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현시대의 맥을 짚는 데 가장 유용한 무기이자 세상의 희망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죠. 불확실성의 시대에서 우리는 늘 불안해합니다. 이 시대는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 그 속에서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역사를 공부한 사람은 이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할 것입니다. 과거보다 현재가 나아졌듯이 미래는 더 밝을 거라고, ‘나’보다 ‘우리’의 힘을 믿으며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면 된다고. 역사를 통해 혼란 속에서도 세상과 사람을 믿고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얻었기 때문입니다. 역사를 다시 공부하려는 사람들에게 저는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건 역사지만 결국은 사람을, 인생을 공부하는 것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이시여, 비록 미욱하여 남을 위해 눈물 한 방울 흘린 적이 없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부디 그 가슴까지 살피시어 오늘처럼 달빛이 충만하게 하소서.  - P2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은 희극적인 요소보다 비극적인 요소를 더 많이 간직하고있는 동물이다. 그래서 울음소리는 지속적으로 길게 발하고 웃음소리는 단발적으로 짧게 발한다. 대체로 울음은 비극적인 요소와 결합해서 생성되고 웃음은 희극적인 요소와 결합해서 생성된다.
하지만 인간은 자신들이 비극적인 요소를 더 많이 간직하고 있는 동물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가급적이면 비극의 부산물인 울음보다 희극의 부산물인 웃음을 더 많이 갈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 P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