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스타트업 혁신을 혁신하는 법 - 데스밸리를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도약하기까지
임성준 지음 / 유노북스 / 2022년 6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13/pimg_7884981893482847.jpg)
기업들의 경영전략에 있어서 어떤 가치를 우선에 두면서 영위해 나가야 하는지, 그리고 스타트업 분야에 특화된 사업전략이나 창업정보 등은 어떤 형태로 배우며 더 나은 성장의 가치나 결과적 성공을 거둘 것인지, 이 책은 이 점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스타트업 시장 자체가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거나 상당히 위축되어 있고 위험이나 변수에 대한 부담감이 크다는 점에서 책의 저자는 현실적인 사업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스타트업의 생존전략, 이를 영위하는 분들의 경우 무엇에 집중하며 실무적 상황에서의 대응역량을 갖춰야 하는지도 자세히 조언하고 있다.
<한국의 스타트업 혁신을 혁신하는 법> 특히 세계의 여러 기업이나 국가의 사례를 보더라도 우리의 스타트업은 여전히 갈 길이 멀어보이며 상대적으로 사람들이 공감은 하지만 실무투자나 업의 운영에 있어서는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시장상황의 다변화, 급변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변수나 환경적 요인에도 대응하거나 적응력을 높여야 한다는 점에서 오는 부담감, 제도적으로의 지원문제나 시스템의 부족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성공하기도 어렵고 어떤 형태로 마주해 나가야 하는지도 어렵게 느껴지는 분야이기도 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13/pimg_7884981893482849.jpg)
물론 여전히 기회적인 요소가 많고 미래가치를 고려할 때, 스타트업 만큼이나 매력적인 분야도 없겠지만 이는 복잡함과 피곤함을 동반할 수도 있고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만큼이나 국내시장의 저변확대, 또는 사람들의 의식이나 생각이 변해야 더 나은 형태의 가치경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리는 스타트업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부족한 부분의 경우에는 어떤 자세로 배우며 실무 상황에서의 대응역량을 키워야 하는지도 저자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소개하며, 이와 연관된 키워드들에 대해서도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한국의 스타트업 혁신을 혁신하는 법> 어떤 이들은 기본적인 경영전략 및 관리의 영역으로 스타트업 분야와 시장을 바라볼 것이다.
또한 개인이 아무리 노력해도 변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며 이를 위한 기업들의 정책노선의 변화,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해당 산업의 보호나 지원, 제도적인 부분의 성숙이나 보완 등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점 또한 책을 통해 접하며 생각해 보게 된다. 벤처나 창업, 또는 사업적인 영역으로의 확장성도 중요하나, 본질적인 부분이나 구조적인 모순이나 문제점 등이 무엇인지, 이에 대한 현실적인 주문과 제도적 보완이 더 필요하다는 점 또한 공감하게 된다. 그리고 시대정신으로 통용되는 ESG 경영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어서 다양한 관점에서 배우는 경영전략 및 관리법, 우리나라 스타트업의 현황이나 미래가치가 무엇인지도 책을 통해 배우며 판단해 보게 된다. <한국의 스타트업 혁신을 혁신하는 법>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 집중하며 활용해 나가야 하는지, 책을 통해 접하며 활용해 보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13/pimg_788498189348285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