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은 어디에 - 요즘 애들의 내집 마련 프로젝트
스테이시 지음 / 지식노마드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혹은 어떤 일을 하더라도 내집 마련은 절대적이며, 삶의 기준이자 성공의 지향점이 된다. 갈수록 악화되는 경제상황과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의 둔화, 결국 자본은 흐르지 않고, 악순환의 되풀이 되는 사회, 그렇다고 마냥 기다리거나 손놓고 있을 순 없을 것이다. 특히 나이든 사람보다는 청년들의 경우에는 매우 비관적인 사회의 모습이나 아무리 일해도 따라 잡을 수 없는 집값의 모순적 상황까지, 하지만 전진해야 하며, 나름 성공적인 돈관리를 통해, 내집 마련에 성공한 사례를 배워야 한다.


이 책도 이런 현실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하면 내집 마련을 이룰 수 있는지,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에 대한 평가와 상황분석, 이를 통해 취할 수 있는 포지션과 가용 가능한 자본의 규모나 범위를 측정하며, 실제 어떤 방식으로 집투자나 분양을 해야 하는지, 자세한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사회초년생의 경우에는 경제상식이 중요하며, 집과 관련된 절대적인 물건에 대해서는 매우 섬세한 접근과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결국 아파트가 무엇이며, 임대주택은 또 무엇인지, 그리고 이런 물건들이 가진 구조나 법조항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아는 만큼 불필요한 돈낭비나 지출을 막을 수 있고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근로소득을 통해 어렵게 마련한 목돈이나 종자돈을 어떻게 활용하며 모을 것인지, 무리한 투자나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투자해 날린 돈의 유형까지, 스스로에 대한 경제관념, 혹은 자산관리의 개념에 대해서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마냥 건물주나 불로소득을 꿈꾸기보다, 내가 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모든 돈의 규모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집의 유형과 입지조건, 혹은 해당 지역에 대한 분석이나 도시계획,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정부의 정책과 방향성까지,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위험을 피하며, 보다 나은 분석과 투자를 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집값에 대한 이해와 비교를 통해, 최상의 물건이 무엇인지 판단하게 될 것이다.


아무리 경제트렌드나 시대정신이 변해도, 부동산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며, 인구절벽 등 부정적인 뉴스기사가 포털사이트를 도배하더라도, 집에 대한 사람들의 열망은 대단한 수준이다. 나라고 예외일 수 없고, 누구나 이런 고급정보를 원하지만, 실제 빠르게 움직이는 시장상황이나 자본에 대한 입장차이, 결국 이런 간극을 줄이며, 나에게 맞는 집을 고르려면, 일정한 공부와 돈에 대한 인식의 전환, 또한 임대주택으로 시작할 지라도, 계속된 관심을 통해 집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할 것이다. 매우 현실적인 내집 마련 가이드북으로 추천하는 바이며, 사회초년생이나 청년세대, 신혼부부들에게 적극적으로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