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계가 풀리는 태도의 힘 - 나를 지키면서 남과 잘 지내는 33가지 방법
사토 야마토 지음, 김윤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사람은 누구나 주관적인 존재이다. 이를 겉으로 드러내느냐, 속으로 참으면서 유연하게, 혹은 재치있게 대응하느냐에 따라서 사람들의 평가나 반응도 달라지는 것이다. 우리는 일상에서부터 사회생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은 만나면서 배우기도 하며, 때로는 반대적 의미로 갈등이나 대립을 통해 감정소모를 하거나,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유형과 존재적 의미, 이들을 하나의 가치로 묶을 순 없지만, 이런 사람들을 만나거나 대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는지, 혹은 대화나 소통을 하는 방법에 따라, 상대의 반응도 달라짐을 유의해야 한다.
물론 나의 방식이나 자존감, 혹은 자신감을 버리라는 말이 아니다. 끝까지 따라오는 인간관계에서 덜 피곤하며, 상대를 조금은 이해하는 방향으로 생각의 관점을 바꾼다면, 결과가 좋을 수도 있고, 뜻하지 않게 도움을 받거나, 나의 사소한 언행이 상대에게 좋은 영향을 줘서, 더 나은 결과를 만들기도 한다. 모든 이들의 마음을 알 순 없지만, 일정한 습관이나 행동패턴을 분석하며, 상대가 지금 어떤 상태인지, 무엇을 원하고 있으며,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지, 조금만 고민해 본다면, 생각보다 더 가치있는 평가나 상대를 존중한다는 느낌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람을 자주 상대하는 직업이나 생계를 위해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면, 기존의 가치관이나 경영관, 혹은 자신의 주관적 요소를 버리며, 상대적인 입장에서 상대를 이해하는 아주 기본적인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성공의 기준은 다르지만, 성공과 실패의 간극은 크지 않고, 아주 사소한 차이에서 더 큰 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관계를 제대로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관계를 유지하며, 복잡한 구조나 개성 넘치는 사람들로부터 나를 지키면서 유연하게 대응하는 행동력일 것이다.
항상 보여지는 태도, 상대가 반응하는 정도의 차이를 고려한 나만의 생각정리나 행동력, 때로는 연기를 통해 처세해야 하는 경우도 존재하며, 이게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약간은 수고스럽고, 피곤할 순 있지만, 이를 통해 긍정적인 결과나 원하는 물질적 가치를 이룰 수 있다면, 이 정도는 충분히 감내할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자신이 소중하며 주관적인 요소이기에, 이를 활용하며 더 나은 가치로 상대에게 다가간다면, 상대는 나를 더 좋아하거나 이해하며 더 가까운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것은 생각의 전환을 바탕으로 하는 행동변화, 그리고 이어지는 일관성에 있음을 잊지 말고, 책을 통해 현실에서 적용 가능한 처세술에 대해 배우며, 나에게 맞는 방법으로 활용해 보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