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재천 스타일 - 지적생활인의 공감 ㅣ 최재천 스타일 1
최재천 지음 / 명진출판사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노란색... 개나리를 연상시키는 산뜻한 책이 내손에~ 들어왔다.
최재천 스타일~, 사람 좋은 인상을 풍기는 그의 사진과 함께~
아마도 익숙한 그의 이름이 더 눈길을 끌었을까?

세계적인 석학이자 자연과학자 그리고 통섭학자인 그를 우리는 감히 ‘지적생활인’이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그는 ‘학문’과 ‘생활’의 자연스러운 공존을 몸소 실천하기 때문이란다.
처음, 책표지에 실린 지적 생활인의 공감~ 이라는 표제를 보구서, 어렵지는 않을까?
지적이라는 단어가.... 어렵고 나에겐 멀게만 생각되었다.
하지만, 항상 내가 갈구하는 지적인 삶, 최재천 스타일이라면, 어렵지 않았다.
그는 고리타분하지도, 연구실과 실험실 안에만 틀어박혀 책에서만 사는 스타일은 아닌듯 하다.
야생을 누비며 동물과 교감하고,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독서와 글쓰기로 통섭을 실천한다.
최재천이 좋아하는 것-
개미, 열대, 세상의 모든 동물들, 아내를 위한 운전, 옥스퍼드 셔츠, 백팩, 연희동에서 이화여대까지 걷는 길, 밤 9시에서 새벽 1시까지의 시간, 고등학교에서 하는 특강, 춤 또는 댄스 본능
그리고,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책과 그들에 대한 뜨겁거나 혹은 차가운 나의 생각-
그의 삶속에서, 사랑속에서, 그의 멘토의 이야기, 그의 숲, 그의 공부, 연구이야기, 그의 관점 등에서 나누는 이야기는 서로 연결고리로 또다른 독서를 하고프게 만드는것 같다.
젊은이에게 꿈을 심어주고, 기초 과학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시간을 쪼개 특강에 나서고, 그의 글 중간 중간 톰소여 이야기를 통해 최재천은 톰소여를 타고난 기지와 꾀로 우리에게 이공계 위기를 극복하는 법을 알려주는 고마운 소년이라고 풀어내며,
우리국가의 앞날과 앞으로 과학자들이 대우받는 시대가 올것임을~ 아주 유쾌하게 재미나게 글을 풀어내고 있다.
이런게.. 최재천 스타일이구나.... 환하게 미소가 번진다.
그에게는 마당의 잔디를 가꾸는 일도, 개들의 뒤치다꺼리를 하는 일도 모두 ‘학문’의 연장선이란다.
머리말에서 말한 저자 최재천이 말하는 최재천 스타일은 현명한 인간이라는 뜻의 호모 사피엔스라는 이름을 버리고, 공생, 즉 함께 사는 인간이라는 뜻의‘호모 심비우스'를 채택하고 싶다는
그의 이야기 속에서, 경쟁보다는 공생을 실천하는 최재천 교수의 지적 생활인의 생활.
경쟁보다 서로 손잡고 함께 가는 것이 진정한 현명함이라 생각하며 그는 ‘공감’을 바탕으로 한 ‘공생’을 꿈꾸며 실천하며, 그만의 스타일을 만들어 가고 있다.
21세기 새로운 인재상으로 ‘융합형 인재’가 뜨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한 분야만 잘하는 전문가보다 융합형 인재를 원한다.
융합형 인재란 깊이 있는 전문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대한 상식과 포용력, 동시에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소통하는 팀워크를 가진 인재를 말한다.
그가 말하는 최재천 스타일, 그의 책을 통해 만나보는 지적생활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생각들은 나에게 또다른 자극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