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혼자 있을 때면 대담한 비상(飛翔)이 가능하다. 
이런 비상이 없으면 날마다 필요한 세계의 크기가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고 또한 그 비상에 뒤따라오는, 고독과 비현실 속으로 빠져들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마련이다. - P115

그것은 비현실적이었다. 비현실이란 상대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P121

 방문객들이 집과 집의 위치에 대해 도시인답게, 돼먹지 못한 연민이나 조롱 섞인 의견을 말할 때마다 집에서 조금씩 활력을 낚아채 갔기 때문이었다.  - P124

남자는 혼자 생각했다. 다른 아이들과 윤무를 추던 아이의 모습은 하나의 깨달음이 아니었던가? 하고. 아니다, 아이가 남자에게만 속한 건 아니었다. 그렇다, 아이에게는 보다 큰 모임이 필요했고 그런 모임에 자신을 맞출 능력이 있었으며, 또한 그러도록 태어난 것이었다. 그것이 아이의 길이었고 그 반대의 길을 간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 P157

아이는 그해의 나머지 기간과 다음해를 그 기독교 학교에 다녔다(아무튼 소위 말하는 중학교로 진학할 때까지). 그학교는 최고의 학교는 아니었다. 전에는 그랬었지만 최고의 학교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포장이 안 돼 있었던 길 역시 그동안 포장이 되었다). 그러나 그곳에는 악의가 없다는 사실이 아이에게는 좋았다.  - P162

 아이는 결코 아웃사이더가 되지 않았던 엄마 곁에 머물렀고 다시 고국에서, 출생한 도시에서 학교에 다녔다.
남자와 떨어져 있다는 건 아이에게는 별 문제가 되지 않았다. 이제 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모국어를 쓴다는 것과(처음으로 같은 집에 살았던) 친구들이었다. 한때는 무언가 〈작업을 한답시고 일상 다반사를 소홀히 하는 사람들을 경멸해 왔던 남자는 의식적으로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멀리했다. 육 년간 아이와 둘이서만 지낸 후에야 그는 한 번쯤 단호히 돌진하는 시도를 해볼 수 있게 된 셈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다른 모든 것을 젖혀놓고, 빗나가지 않게 일에만 집중해야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게다가 아이에게도<영원한 타인>은 없는 게 좋을 것이라고 그는 확신했다. - P1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따라서 이 장르의 역사를 쓰려면 내용을 선별할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를 보았을 때 남자가 느꼈던 것은 단순한 책임갈만이 아니라 그 아이를 보호하고 싶다는 마음과 그곳에 두 다리로 일어서서 단숨에 튼튼해져야 된다는 그런 용감함이었다. - P99

매일 오후마다 집에서 나와 좁은 길을 걸어서 왔다갔다했는데 그 길에는 정적과 소음, 침침함과 회색빛 섬광, 소나기와 건조한 기후 등이 번갈아가며 다양한 모습을 띠곤 했다. - P104

오후만 되면 매일같이 산보를 계속하다 보니 바티뇰광장이라는 단어는 남자에게 이름만으로도 아이와 함께 기억 속에 남은 영원한 지명이 되었다. - P105

그의 어린 딸이 처음으로 거기 서 있는 아버지로부터 독립된 독자적인 존재로 보인 것이다. 또한 그런 자유를 누리며 강해져야지!  - P106

소망한다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소망하는 것에 시한(時限)을 두어야 한다는 의식도 가능하리라.  - P1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국 선택의 문제입니다. 선택은 자연법으로 결정되는 게 아닙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런 선택이 이미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변화라는 조짐은 거의 없습니다. 중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 방향을 밀고 나가는 게 쉽겠지만, 나는 이 방향으로 지속되는 걸 바라지 않습니다. 그러나 세상의 전반적인 그림이 그렇습니다. 그렇다고 이런 선택이 부당한 선택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만, 합리적이고 온당한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끔찍한 결과가 예상되는 게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실 한 사람 한 사람은 스스로를 유일무이한 존재로 여기지만,
대개는 어떤 패턴의 조합으로 이뤄져 있는 게 아닐까? 
예를 들어 영화 <어바웃 타임>이 개봉했을 때, 주변의 편집자 친구들이 레이철 매캐덤스의 앞머리와 옷과 가방을 보고 화들짝 놀랐었다. 
너무나 편집자스럽다고, 전 세계의 편집자들은 취향이 그렇게나 겹치는 거냐고 깔깔 서로를 놀렸던 것이다. 
특별한 것 같지만 아무도 특별하지 않다.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교육을 받고 비슷한 공동체에 속하면 비슷해진다. 
그런 패턴을 확인할 때 스스로가 작아지기도 하지만, 이상하게 마음이 편해지기도 한다.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