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ㅣ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랫동안 베스트셀러에 올라있는 책이다. 유명한 책들은 오히려 서평이나 광고로 많이 접해서 그런지 기대감을 가지지 않고 보는 편이다. 이 책도 그렇게 편한 마음으로 어떤 내용을 소개하기에 그렇게 오랫동안 사랑을 받고 있는지 궁금한 마음에 책을 펼쳐보았다. 솔직히 심리학 적이고 철학적인 내용 일 것 같아 딱딱하고 어려운 내용이 가득할 것 같아 더 기대감이 떨어졌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책을 읽을수록 마치 책속의 화자는 내가 된 것 마냥 어렵지 않게 철학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철학자는 청년에게 아들러 심리학을 소개한다. 조금은 생소한 아들러의 이론은 기존에 우리가 가지고 있던 생각이나 상식에 반하는 오히려 반대라는 개념으로 와 닿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청년은 아들러의 심리학을 들으면 들을수록 화가 나고 분노하게 된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어쩌면 책 속의 청년이 나 자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철학자의 이론을 들을수록 그것은 그저 그 상황에 처해보지 못한 사람이 이론적인 생각만으로 가지고 말하는 이야기일 뿐이라고... 하지만 끝으로 갈수록 나 역시 아들러의 이론에 물들 듯 인생을 바라보는 관점이 살짝은 바뀌어 진 것 같다. 지금까지 가지고 살아온 생각을 이 책 한 권으로 뚝딱 바꿀 수는 없겠지만 앞으로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이 닥치거나 마음이 힘들어질 때 이 책으로 용기를 얻고 다시 힘을 낼 수 있다는 점은 확실하다.
아들러의 주장은 한 마디로 ‘지금, 여기’를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과거나 미래의 걱정이나 근심 따위는 버리고 과거의 아픈 기억들이 우리의 현재를 지배할 수는 없다. 만약 지배당하고 있다면 우리가 스스로 선택해서 불행해지고 있는 것이다. 그는 인간은 오늘 당장 행복해질 수 있으며 그 어떤 누구도 예외는 없다고 주장한다. 그 주장에 힘없고 매사에 불만이 가득한 소심한 성격의 청년이 반론을 제기한다. 그가 주장하는 스스로 정한 목적을 향해 움직이는 목적론을 청년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가 없다. 아들러의 심리학에서는 청년이 불행한 이유는 과거의 환경 탓이 아니라 그저 ‘용기’가 부족한 것뿐이었다. 즉 ‘행복해질 용기’가 부족한 것이다.
또한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고민’ 이고 고민을 없애려면 우주 공간에서 홀로 살아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홀로 살아간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므로 우리는 행동 목표로 1) 자립할 것 2) 사회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것 / 심리적 목표로 1) 내게는 능력이 있다는 의식을 가질 것 2) 사람들은 내 친구라는 의식을 가질 것을 제시한다. 이 인생의 과제를 머릿속에 마음속에 간직하며 살아간다면 타인의 눈치에 신경 쓰지 않으며 인생을 허비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을 것 같다. 인생이 피곤한 것은 남의 인생에 개입해서 남의 과제에 신경을 쓰며 잔소리를 하고 나의 과제에 타인이 개입하는 것에 신경을 쓰기 때문이다. 일정한 선을 그어준다면 서로 개입 받지 않고 자신의 인생을 살아갈 수 있다.
칭찬도 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이건 좀 너무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들었지만 인간관계를 수직관계가 아닌 수평관계에 둬야하는 것으로 바꿔 생각해보니 앞으로는 “잘했다”라는 말보다는 “고맙다”라는 말을 더 많이 써야겠다는 다짐도 하게 됐다. 마지막 장에서는 인생을 찰나의 연속으로 춤추듯 살라고 조언하는 데 나도 청년처럼 이 이론은 10년 아니 5년만 일찍 알았어도 허비하는 시간이 훨씬 줄었을 것 같은 아쉬움이 남았지만 이제라도 아들러의 이론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것에 큰 감사한 마음을 가지며 글을 마친다.
* 인상 깊은 구절: 자신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자신밖에 없네 ( P. 1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