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무해한 사람이 되고 싶어 - 즐겁게 시작하는 제로웨이스트 라이프
허유정 지음 / 뜻밖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가 이 책에 담은 꿈은 단 하나,
지금 당장 쓰레기를 줄여보고 싶어 엉덩이가 들썩거리는 것,
대단한 결심도 필요하지 않고
나무 칫솔을 써볼까? 하는 딱 이 정도의 관심이라면 작가는 성공했다.
나의 엉덩이가 들썩거리다 못해
여름이면 자주 마시게 되는 탄산수를 플라스틱 병이 아닌 유리병 용기를 찾아 바로 주문을 했으니 말이다.^^
행동파!!!

평소에 유리병 용기는 잘 닦아서 재활용하는 편이다. 수제잼을 만들거나 피클을 만들면 그 전에 사용했던 소스병이나 장아찌 병등을 두었다가 소독해서 사용한다. 나름대로 환경을 생각해서 쓰레기 분리수거나 친환경을 사용하는 이유 역시 시작은 거대하지 않았다.
나 하나 일회용품을 줄이거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지구에 큰 변화가 오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쓰는 물건으로 나의 몸에는 변화가 즉각 오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용기는 될 수 있으면 사용하지 않고 유리 소재나 도자기, 코팅팬보다는 스텐용기를 사용한다.
하지만 가장 어려운 것은 역시 비닐의 사용을 절제하는 일이다.​

장을 보러 갈때는 에코백이나 장바구니를 항상 들거나 끌고 나간다.
그래도 담아온 물건들을 꺼내 정리하다보면
비닐이나 플라스틱 포장재가 많이 나온다.
친환경 세제에도 관심이 많아서 비누나 샴푸에도 관심이 많은데 작가는 더욱 더 적극적으로 쓰레기 없는 일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는 작가의 라이프 스타일을 보면서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은 생각보다는 '이 정도는 나도 따라할 수 있겠다' 싶은 일들이 더 많다. 관심은 있었지만 몰라서 하지 못했던 일들을 좀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생활을 바꾸고 몸도 건강해지고 집안도 이뻐지는 방법들이 너무 마음에 쏙 들었다.

용기에 담긴 세제가 아니라 디스펜서에 담겨진 세제통에서 내가 가지고 간 용기에 담아서 사오는 시스템이다. 버려지는 플라스틱 용기들이 제대로 재활용되지 않는 것을 생각해볼 때 고려해 볼만한 관심사이며 함께 행동해야 할 문제이다.
나뿐 아닌 모두, 그리고 현재만이 아닌 미래를 위해 기꺼이 불편함을 선택하는 사람들의 선의 가득한 모습이 감동적이고 멋져 보인다.

"본격적인 제로웨이스트의 시작과 여행담을 길게 풀어 놓았지만 결론은 간단하다.
'멋있었고, 따라 하고 싶었고, 그리고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우연히 이런 삶을 알게 돼 시작하게 됐고,
그 이후 내 몸과 마음은 더 건강해졌으며,
나아가 조금 진지한 나의 일상이 됐다.
이렇게 건강한 유행이라면 한 번쯤 가볍게 따라 해봐도 좋지 않을까?"

완전 강추다!!
나 역시 고민하고 걱정하는 부분이다.
딸아이가 초경을 준비하면서 일회용 생리대로 고민을 많이 했다. 내 아이의 몸에게 화학약품 덩어리를 줄 수 없었다. 고민하고 서로 이야기한 결과 흔쾌히 받아들이고 딸과 함께 면생리대로 바꿔 3년째 사용 중이다. 아주 만족한다.

여럿에게 좋다고 권유하고 보여주기도 했지만 빨래걱정으로 혹은 귀찮고 번거롭다는 이유로 선뜻 실천하기 어려운 모양이다. 그냥 담가놓고 세제 뿌려놓았다가 빨래처럼 세탁망에 넣어 돌리면 된다. 마지막에 유연제 대신 식초나 구연산을 넣는다.

책을 읽으면서 몰랐던 유리병 탄산수를 바로 주문했다. 플라스틱 병의 사용이 활용이 전부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비닐 라벨을 벗기고 내부는 깨끗하게 헹궈서 찌끄러뜨려 버려야 확실한 분리수거이다.
그에 반해 유리병은 재활용이 쉽다. 녹여서 재활용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집에서도 활용하기 좋다. 버릴 것은 버리고 몇 개는 또 수경재배에 사용될 것 같다^^

내가 따라하고 싶은 몇가지 아이템을 소개해본다.​
에코백, 텀블러와 사용은 당연한 것이고, 서랍 안에 박혀 있던 손수건 사용을 늘리고 싶다.​
그냥 버릇이나 습관처럼 마구 뽑아 사용하는 휴지. 종이를 만들기 위해 뽑혀나가는 나무를 생각해보면 정말 아껴야 할 것들이 많다.
예전 사람들처럼 주머니나 핸드백 안에 손수건을 챙겨서 나가면 은근히 핫해 보이기도 하고
화장지나 물티슈를 덜 사용하게 될 것이다.

플라스틱 칫솔을 나무 칫솔로 바꾸는 것은 작가도 추천하는 아이템이다.
미세 플라스틱을 입안에 넣는 격이니 건강한 몸을 위해서 나무 칫솔을 생각해 봐야겠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세제가 문제이다.
일단 천연 수세미를 파는 곳에서 천연 수세미를 사고 싶다. 성긴 재질의 천연 수세미는 햇볕에 말려 새 것처럼 사용할 수 있고, 물을 머금으면 젖은 해면처럼 우연해지고 부드러워진다고 한다.


"천연 수세미는 우리 몸에도 좋은 살림이다. 아크릴 수세미를 사용할 때 특히 걱정됐던 미세 플라스틱. 종종 끊어지는 플라스틱 수세미 조각을 보면 보이지 않는 플라스틱은 얼마나 많을까 불안했다. 하지만 천연 수세미는 자연으로 돌아가는 완전한 식물. 입에 들어가도 자연스럽게 나오겠거니 생각하면 설거지하는 마음이 훨씬 편해졌다. "

천연 수세미와 함께 설거지 비누를 사용하면 맨손 설거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 뽀드득한 손맛을 나도 좋아하는데 고무장갑을 끼고서는 느낄 수 없다.

면행주를 삶는 일이다. 설거지하고 나서 항상 면행주를 삶아 쓰다가 얼마전부터 소독하는 세제를 사용해서 담가 사용하는 편리함을 가장한 게으른 생활을 하고 있었나보다.
행주를 삶아 뽀송뽀송하게 햇볕에 말려서 사용하면 기분도 좋아진다.
어릴 때 아이 천기저귀를 삶아서 널어 놓았던 감촉을 다시 만나보야야겠다.

지퍼백이나 비닐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대체품으로 실리콘 백을 활용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비슷하고 씻어서 사용하면 3000번 이상 재사용이 가능하다.
요즘 코로나로 인해 배달주문이 많아져서
온갖 포장재로 담아져 나오는 비닐과 플라스틱이 너무 문제가 되고 있다.
줄일 수 있는 쓰레기를 줄여보는 일상의 재미를 하나씩 늘여가고 싶어진다.

또 하나는 음식물 처리기이다.​
미생물이 있는 처리기인데 음식물 쓰레기를 넣으면 미생물이 몇 시간 만에 흙처럼 만들어 준다고 한다.

이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설이 아파트마다 있었으면 좋겠다. 집에서 설치하기에는 가격도 부담되지만 한두집이 변해서는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없는데 비싸더라고 나라에서 이런 처리기를 장착해줄수 있는 날이 온다면 참 좋겠다.

면적도 좁은 우리 나라에 쓰레기 산만 200여개나 훨씬 넘는다고 한다. 소각하면 연기로 나쁜 성분이 나오고, 매립하면 비닐의 경우 500년이상 썩지도 않고 나쁜 성분이 흙과 물로 흘러 들어간다.

머지않아 닥쳐오게 될 쓰레기 전쟁이 문제이기도 하지만, 올바른 먹거리나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것은 건강한 몸을 위해 필요한 행동이라 적극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좋겠다.

작가처럼 집에서 밥을 안해먹고 인스턴트나 배달음식으로 먹다보면 호르몬의 이상으로 몸이 신호를 보낼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