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별 생태사상가 - 2020 우수콘텐츠 선정작
황대권 외 27인 지음, 작은것이 아름답다 엮음 / 작은것이아름답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19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는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는가? 이런 질문에 문득 지구별이라는 생태계에서는 행복하지만은 않다는 절망적인 답을 내게 된다. 어려운 질문에 나는 잠시 머뭇거린다.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플라스틱을 많이 소비하는 일상의 삶도 지구별에는 좋지 않다고 생각이 들었다. 인간의 삶도 마찬가지다. 자연을 점차 파괴할수록 인간은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 어떠한 형태로든 자연은 인간과 하나의 동등한 체계이다. 그것은 하나의 문명이자 문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과 인간은 상호조화를 해야 하는 생태계의 질서와 균형을 맞춰 가야 한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녹색전환의 길이 되기 위해서는 지금의 시대에 희망을 줄 수 있는 자연 생태계에 주목하게 된다. 이번에 읽었던 <지구별 생태사상가> 책은 그동안 고민하던 녹색의 삶의 의미를 바라보는 시간으로 넘쳐나길 바라는 희망을 말할 것이다.

 

 현재 지구별은 지구문명을 파괴하는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 다양한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에 대해 생각하는 사람들의 대안과 사상의 방법들이 자세하게 녹아져 있다. 특히 기억에 남는 점은 레오폴드가 제시한 사상인 토지윤리는 현대 생태중심의 토지에 대한 철학의 기초가 되었다는 점이 큰 시사점을 준다. 현재 그동안 개발 중심의 자본주의적 속성이 환경파괴를 불러왔다는 점에서 땅에 대한 비극까지 불러오게 하였다. 생태 전환은 지구 생태계의 보고이자 가장 핵심이 되는 근본적 개념이 된다고 생각한다.

 심각한 자연과 생물의 멸종, 생태계의 절멸까지 이어지는 끔찍한 상상은 더 이상 일어나서도 안 된다. 토지윤리는 이러한 레오폴드의 말처럼 생명공동체에서 우리의 동료 구성원임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는 점이다. 토지 즉, 땅은 인간에게 주는 다양한 산물들을 생산하게 만드는 근원이자 젖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인간이라는 존재는 토지를 더욱 존중하며 하나의 구성원으로서 관계를 재정립하고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가 제시한 로컬 비즈니스, 로컬 푸드, 로컬 에너지는 지역에서 나는 제품들을 통해서 지역 공동체들을 살릴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앞서 보았던 토지윤리처럼 토양이 가진 존엄의 의미를 가짐으로써 건강성과 자연의 생물다양성까지를 보전하게 만드는 하나의 생태계 선순환이 된다. 우리는 세계화 시대에 따른 경제가 점차 글로벌 화가 되고 국경이 없어지는 가운데에 그에 따른 자본의 침투는 가속화되어 왔다. 자연은 점차 멍들고 정당한 상인들의 몫까지 경제적 착취로 구조를 흔들게 만들었다. 하지만 지역 안으로 파고드는 사업들은 더욱 건강한 자연 생태계를 꾸려나갈 수 있는 방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늘과 땅과 모두가 나와 함께 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곧바로 나다, 하는 것을 일속에서 빨리 체득해주시길 부탁해요. ‘하늘과 땅과 생물이 바로 나다하는 것을 체득하시라 이 말씀입니다. 생명의 진수가 물질 하나에 있다 이 말이야. 나락 한 알 속에도, 아주 작다고 하는 머리털 하나 속에도 우주의 존재가 내포돼 있다 그 말이에요.” 나락 한 알 속의 우주에 나오는 말처럼 우리는 자연과 인간 서로의 존재가 바로 하나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주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자연별과 생태계가 함께 조화로운 세상이 녹색전환의 하나의 희망이 되어가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